'대구시 행정력의 한계인가, 시민참여의 확대인가.'
올들어 대구시가 주요 현안들에 대한 해결책 마련이 어려워질 때마다 시민사회단체와 전문가 등이 참여하는 임시기구를 잇따라 구성, 해결의 실마리를 모색하고 있다.
대구지하철의 노사갈등도 해결기미가 보이지 않자 대구시는 노사 양측과 시 및 시민사회단체 관계자 등이 참여하는 '시민위원회' 구성을 제안해 놓고 있다. 지하철 노사 양측의 독자적 해결원칙을 고수해 온 시는 민주노총이나 노동청 등의 설득작업이 별다른 성과를 얻지 못하자 시민위원회를 통해 돌파구 마련한다는 방침이다.
이에 앞서 시는 지난 5월의 시내 버스업계의 노사파업과 관련, 임금협상과 준공영제도입 등을 둘러싸고 대립하자 대구시와 노사 양측 및 시민단체, 학계 등이 참여하는 '버스임금협상 시민중재위원회'를 구성했다. 시는 파업타결 뒤 준공영제도입 등을 위해서는 '버스개혁 시민위원회'를 만들어 운영중이다. 시는 또한 고속철도 대구도심통과방식을 둘러싼 찬반논란이 재연되자 지난달 4일 대구시의회와 학계, 시민단체 등이 참여하는 '고속철도 대구도심 통과방안 심의위원회'를 구성했다.
이와 함께 5년 넘게 시와 일부 입주 상인들간 갈등이 계속 되고 있는 중앙지하상가 문제해결을 위해 시와 시민단체, 변호사, 공인회계사 등이 참여하는 중재단을 만들어 해결을 위한 대안을 모색중이다.
이같은 현안관련 임시기구의 구성과 관련, 시 행정력에 한계에 따른 시민비난과 비판을 피하기 위한 것이란 지적과 함께 여론수렴을 통한 민원해결 및 행정참여 폭의 확대라는 긍정적인 입장도 맞서고 있다. 시 관계자는 "갈수록 다양하고 복잡해지는 이해 관계인들의 의견을 수렴하기 위해 시행정에 대한 시민참여 폭을 넓힌다는 긍정적인 측면이 있다"고 평가했다. 그러나 다른 관계자는 "이런 현상은 행정능력의 한계를 드러내는 것으로 시가 현안에 대한 대책을 마련하지 못하고 자칫 비판적인 여론을 피하기 위한 방패 막이용으로 활용하는 것 아니냐는 오해받을 소지가 있다"고 말했다. 정인열기자 oxen@imaeil.com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우리 아기가 태어났어요]신세계병원 덕담
'이재명 선거법' 전원합의체, 이례적 속도에…민주 "걱정된다"
"하루 32톤 사용"…윤 전 대통령 관저 수돗물 논란, 진실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