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가계 빚 '3천만원 시대'

가계 빚이 수그러들지 않고 있다.

지금 우리 경제 최대 현안이 '내수 회복'인데 개인 살림살이는 갈수록 부실해지고 있으니 어디서부터 경제 회복의 실마리를 찾아야 할지 난감한 실정이다.

그러나 외상 구매는 줄어들고 있어 '건전 소비'가 정착되면서 내수 회복을 위한 '기반 다지기'가 아니냐는 희망적인 분석이 나오는 것은 그나마 다행이다.

한국은행에 따르면 6월 말 현재 가계신용 잔액은 458조원으로 석 달만에 1.7%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전년 대비로는 4.3% 늘어난 수치다.

이를 전체 가구수로 나누면 가구당 2천994만원으로 가계빚 '3천만원 시대'의 문턱을 넘고 있는 셈이다.

가계 부채는 2000년 이후 한국 경제의 발목을 잡고 있는 '골칫덩어리'다.

국민 소득은 제자리걸음인데 가계 빚은 4년만에 거의 곱절로 늘어났으니 그 충격에서 헤어나지 못하는 것은 당연하다.

성실성과 저축 하나로 1만 달러 시대를 개척해온 한국 경제가 어느덧 빚더미에 눌려 앉았으니 재도약의 원동력을 찾기가 쉽지 않을 것이다.

물론 가계 빚은 감당할 수 있는 정도라면 별 문제가 없다.

또 그것이 소비 증대로 연결돼 생산으로 확대 재생산된다면 오히려 경제 활성화의 탈출구가 될 것이다.

그런데 우리의 경우 이런 '선순환' 고리가 제대로 작동하지 않는다는데 문제가 있다.

가계 빚은 곧 개인 신용불량자를 양산하고 과시 소비를 조장, '도덕적 해이'를 부추기고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희망적인 면도 있다.

최근 가계 빚 증가는 주택자금 대출이 늘어났기 때문이며, 외상 구매는 오히려 줄어든 까닭이다.

이제 국민들은 그 심각성을 자각하고 있는 만큼 정부는 건전 가계 육성책을 강화해야 한다.

섣부른 내수 활성화는 가계 부실화를 부추길 수도 있다는 사실을 명심해야 한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