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야고부-문화유산 '홀대

우리는 지금 세계화 시대에 살고 있으면서도 무엇보다 민족이 우선이라는 주장에 여전히 힘이 실린다.

그렇다면 무엇이 한 민족으로 엮어주는 구실을 하며, 그 동질성을 어디에서 찾아야 할까. 두말할 나위 없이 '역사'에서 찾을 수밖에 없다.

우리의 역사는 옛 사람들이 남긴 기록들이 말해주기도 하지만, 그 숨결들이 살아 있는 문화유산에서 생생하게 느낄 수 있다.

문화유산이 바로 역사를 증명하고 민족의 정체성을 말해주는 '역사의 얼굴'이며, '우리'라는 울타리를 만드는 구실도 하고 있다.

▲요즘 우리는 중국과 일본의 역사 왜곡으로 심한 홍역을 앓고 있는 것도 역사의 중요성 때문임을 누구나 다 잘 알고 있다.

그러나 그 중요성에 대한 인식이 어느 정도인가는 한심한 수준으로 보여진다.

우리의 얼굴이자 자존심이라 할 수 있는 문화재에 대해서는 더욱 그렇다.

과연 제대로 보존하고 관리하고 있는지 새삼 자문해보지 않을 수 없다.

▲우리나라 문화유산 보존.관리 예산이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30개 회원국 가운데 최하위권인 29위로 밝혀졌다.

국회 문광위에 발표된 한 자료에 따르면 우리의 이 분야 2002년 예산은 일반회계의 0.29%로 그야말로 초라하다.

상위권인 미국.일본.독일 등은 우리보다 무려 6배 이상이나 많고, OECD 30개 회원국의 평균 예산도 3.9배에 이르고 있다.

▲선진국들은 문화유산 보존과 관리에 많은 관심과 예산을 쏟고 있다.

한번 망가지면 영영 돌이킬 수 없는 역사의 얼굴이자 민족의 자존심이며, 소중한 관광자원이라는 문화재에 대한 인식이 그 바탕에 깔려 있기 때문일 게다.

더구나 문화재가 망가진다고 언론에 크게 보도되는 경우를 보기 어려운 것도 그만큼 문제의 소지들을 사전에 소리소문 없는 대책과 처리로 해결한다는 증거가 아니고 무엇이겠는가.

▲우리의 현실은 어떤가. 문화재를 노리는 범죄는 지능화하지만, 보존.관리 시스템은 허술하기 그지없다.

문화재를 제대로 지키고 가꾸려면 시간과 인력, 재정과 법적 뒷받침이 따라야 한다.

아무리 잘 하려고 애써도 전문인력과 재정 지원이 제대로 되지 않으면 불가능한 일이다.

세계 속의 우리 위상에 걸맞은 문화유산에 대한 시스템 정비와 그에 부응하는 예산을 들여야 하는 까닭도 거기에 있다.

이태수 논설실장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