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기고-소외계층 전담 일자리 확충하자

삶의 질 향상으로 평균수명이 늘면서 노령인구가 급증하고 있다.

또 각종 사고와 질병, 재해 등으로 장애인도 급증하는 추세다.

이들에 대한 정부의 사회복지정책에 대한 중요성이 날로 더해가고 있다.

하지만 소외계층에 대한 정부의 복지정책은 이들의 자생력을 키워주는 구조적인 정책보다는 일시적인 지원에 그치고 있다.

장애인들은 이동권 보장이 안되는 것은 물론 사회적 편견으로 밖으로 다니기조차 힘든 현실이고 노인들은 역할과 생업이 없어 하릴없이 소일하는 것을 주변에서 많이 본다.

고속도로 톨게이트 요금 징수원 같이우리는 젊은층이 보는 일을 일본의 경우 노인들이 업무를 보고 있고 다른 영역에서도 노인들이 활발히 참여하고 있다.

생활보장을 위한 금전지원도 필요하지만 이들이 최저생활에 벗어날 수 있도록 근본적인 대책을 세워주는 것이 필요하다.

노인층의 경우 그들의 경륜을 활용하고 신체장애인은 잠재된 특기와 소질을 살려 생계수단으로 연결할 수 있는 전담 일자리를 개발하고 확충해야 한다.

활동이 가능한 노인층과 장애인들을 생활전선에 유입시켜 세대간, 계층간 고용구조를 넓히면 비장애인, 젊은 층이 부담하는 사회적 비용도 줄일 수 있기 때문이다.

이를 위해 노인층과 장애인층에 대한 직업교육이나 재교육을 국가적 사업으로 실시하고 기업체, 사회단체, 공공기관이 참여하는 소외계층 일자리 창출 네트워크를 만들어야 한다.

부의 재분배를 위해 금전적인 지원을 통한 사회보장정책이 가장 손쉽기는 하지만 이는 근본적인 해결책은 아니다.

>

더 중요한 것은 일할 수 있는 여력이 있는 노인계층이나 장애인층에 걸맞은 전담 일자리를 마련해주는 것이 그들에게 삶의 의욕과 보람을 높이고 자생력을 키우는 일이다.

이와 함께 정부에만 사회복지정책을 맡길 것이 아니라 모든 민간 부문에서 개인이나 단체가 소외계층을 지원하는데 적극 참여하는 사회풍토가 선행돼야 더불어 사는 복지사회가 앞당겨 질 것이다.

김종한(상주시청 사회복지계장)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