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여, 사법부도 과거사 고백 추진

열린우리당이 검찰과 법원 등 사법부에 대한 '과거사 고백' 작업을 추진하고 있는 것으로 10일 알려졌다.

우리당 핵심 관계자는 이날 "우리당 법사위가 이번 정기국회 국정감사에서 대법원 등 사법부와 검찰의 과거사 고백을 중점 주제로 선정했다"며 "과거 권위주의 시대에 자행된 사법 피해를 중점적으로 파헤쳐 사법부의 자발적인 고백을 유도할 방침"이라고 말했다.

우리당 법사위가 주도하고 있는 이 같은 움직임은 최근 노무현(盧武鉉) 대통령의 '국가기관 인권침해 및 불법행위 고백' 발언 이후 국방부와 국가정보원 등 국가기관이 자체적으로 과거사 진상규명 작업에 나선 데 따른 것으로 보이지만, 정치권에 의한 사법권 침해 논란이 뒤따를 전망이다.

우리당 법사위는 일단 법원의 과거사 고백을 유도하기 위해 과거 독재정권의 압력에 의한 판결 사례를 의원별로 분담해 당시 재판자료를 재검토하고, 관련자들을 면담하는 등 본격적인 준비작업에 들어갔다.

특히 권위주의 시대의 대표적인 사법 피해 사례로 꼽히는 '인혁당 사건'에 대해서는 피해자 유족을 미리 면담한 뒤 국감 참고인으로 선정할 계획인 것으로 알려졌다.

검찰에 대해서는 고문 등 인권침해 사례와 기소권 남용 문제, 정치검찰 문제 등을 조사할 계획이다.

우리당 법사위는 이 같은 자체조사를 바탕으로 '사법부, 이제는 말해야 한다'는 제목의 공동 정책자료집을 발간하고, 대법원과 법무부, 검찰 등에 대한 국감에서 문제점을 지적하는 등 '과거사 고백'을 압박할 계획이다.

국감 이전에 발간될 예정인 공동 정책자료집에는 각종 사법 피해 사례와 관련자료, 통계 자료 등과 함께 법원의 개혁을 주장했던 문흥수(文興洙) 전 서울중앙지법 부장판사와 서울대 법대 조국(曺國) 교수의 글도 실릴 예정이다.

우리당 법사위 관계자는 "최근 사회의 개혁에도 불구하고 사법부는 아직도 요지부동"이라며 "과거사 고백을 통해 사법부의 보수적인 생각과 사법제도를 전환하자는 것이 키포인트"라고 말했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