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참사를 잊지 말자.'
지난해 2월 일어난 대구지하철 참사를 다룬 백서들이 잇따라 발간되고 있다.
대구시는 3천만원을 들여 이달 중 750여쪽에 이르는 '대구지하철 화재참사 백서'를 1천권 가량 발간, 정부기관이나 학교 및 도서관 등 전국의 관련기관에 나눠줄 계획이다. 이번 백서는 지하철 참사 발생 뒤 지금까지의 기록들을 세분야로 나눠져 있다.
특히 백서 앞부분에는 매일신문이 특종보도해 전 세계로 타전된 지하철 화재 당시 연기로 가득찬 지하철 객차 내부의 참담한 모습을 담은 사진을 비롯, 참사사진 수십장을 25쪽짜리 화보로 꾸민 '사진으로 본 지하철 화재참사'를 실어 당시의 비참함을 되새기게 했다.
제1편에서는 지하철 현황과 사고개요 및 원인 등, 제2편에서는 사고뒤 펼쳐진 조치와 긴급구조 및 응급조치, 수습대책, 복구대책, 자원봉사활동, 실종자 확인, 추모행사 및 추모사업, 보상업무 등을 다뤘다. 3편에서는 사상자명단과 자원봉사활동 체험수기 및 언론보도 내용 등을 담았다.
시는 백서를 통해 지하철 화재가 대형사고로 확대된 원인을 △불연재 아닌 난연재로 된 객차설비△화재차량 맞은편에서의 전동차 진입에 따른 송풍효과로 화재의 급속한 전파△기관사와 운전 사령실의 상황판단 부족△승객대피 동선과 동일한 연기 유동경로△지하철설비의 화재취약성 등을 꼽았다. 백서는 아울러 '사고원인과 반성'의 항목에서 "대형사고로 확대된 주요원인은 지하철공사의 초기대응 및 조치의 미숙이었다"고 지적했다.
백서는 "사고열차인 1079호 기관사의 화재발생에 대한 사고보고 누락과 화재발생을 최초 보고한 역무원의 상세하지 못한 보고 내용은 사령실 관계자로 하여금 오판을 낳게 한 중대한 과실"이며 "사고관련 담당자 대부분 제도를 무시하거나 안이하게 대처함으로 대형사고로 확대됐다'고 분석했다.
한편 대구시의 백서와 함께 지하철 관련단체 두 곳에서도 별도의 백서발간을 계획중인 것으로 알려졌고 지난해는 대구지검과 국립과학수사연구소에서도 각각 '수사백서'와 '대량재해와 집단사망자 관련'란 백서를 냈다. 정인열기자 oxen@imaeil.com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대법원, 이재명 '선거법 위반' 사건 전원합의체 회부…노태악 회피신청
한덕수 "24일 오후 9시, 한미 2+2 통상협의…초당적 협의 부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