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회 남북관계발전특위는 13일 오후 첫 회의를 소집, 정동영(鄭東泳) 통일부장관으로부터 북한 량강도 폭발에 대한 정부측 보고를 듣고 대책을 논의했다. 여야 의원들은 폭발 규모가 지난 4월 용천역 폭발 당시보다 컸다는 언론보도에 우려하면서 지름 3.5~4m의 버섯구름 형태 연기가 피어오른 것이 핵실험 가능성이 크다는 외신보도를 주목했다.
의원들은 특히 뉴욕타임스가 지난 11일 보도한 '북한 핵무기 실험 임박설'에 주목했다. 열린우리당 이호웅.송영길 의원은 "폭발이 있은 김형직군(君)은 중국 지린(吉林)성 지안(集安)시와 압록강을 사이로 접경한 곳이며 대포동 1, 2호 미사일 발사기지가 있는 곳이기도 하다"고 우려했다. 한나라당 김석준 의원은 "북한이 실험을 할 수 있는 곳으로 지목된 장소 등에서 지난 3~4주간 핵 활동 관련 물질의 빈번한 이동이 위성사진에 포착됐다는 보도가 나왔다"고 주장했다.
그러나 정동영 장관은 "폭발 징후가 있다는 보고가 있었지만 핵실험과 관련한 어떠한 징후도 포착되지 않았다"며 "콜린 파월 미국 국무장관도 NBC 방송에 출연, 북한은 (핵)실험을 하지 않았다고 말했다"면서 관련 의혹을 부인한 것으로 전해졌다.
여야 의원들은 또 지난 82년 4, 5월쯤 한국 원자력연구소의 연구용 원자로인 '연구로 2호기 트리가 마크Ⅲ'에서 수mg의 플루토늄을 추출, 북핵 6자회담 성사가 불투명해진 점도 걱정했다. 의원들은 "그동안 침묵해오던 북한 외무성이 플루토늄 추출 사실을 6자회담 개최와 연계시켜 정치공세를 펴려 한다"며 정부측 대책을 따졌다.
이에 앞서 이부영(李富榮) 열린우리당 의장은 "김형직군은 인구정밀 지역이 아니어서 피해규모가 크지는 않을 것으로 보인다. 여러 가지 추측보도가 난무하고 있으나 특정적이라고 할 수 없다"며 폭발사고를 둘러싼 논란 차단에 나섰다.
하지만 박근혜(朴槿惠) 한나라당 대표는 "대폭발을 둘러싼 원인규명이 시급하다"고 했고, 김덕룡(金德龍) 원내대표는 "폭발사고가 난지 사흘 뒤에야 부랴부랴 NSC를 개최한데다 고작 흘러나온 얘기가 '상황 파악 중'이라는 얘기"라며 "늑장대처에다 미국과 중국과 정보교류가 거의 없고 관련 사실을 확인하려는 의지조차 없다는 사실이 드러났다"고 비난했다. 김태완.박상전기자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우리 아기가 태어났어요]신세계병원 덕담
"하루 32톤 사용"…윤 전 대통령 관저 수돗물 논란, 진실은?
'이재명 선거법' 전원합의체, 이례적 속도에…민주 "걱정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