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조동만 리스트' 疑惑 모두 밝혀라

이른바 '조동만 리스트'가 검찰에 의해 속속 밝혀지면서 의혹도 점차 커지고 있다. 우선 조동만 전(前) 한솔그룹 부회장으로부터 돈을 받은 혐의를 받고 있는 경우는 열린우리당의 김한길 의원 1억원, 김중권 전 청와대비서실장 4억원, 유종근 전 전북지사 2억원, 민주당 전 의원 모씨, 서울대 모 교수 8천만원 등으로 압축되고 있다.

이 대목에서 제기되는 의혹은 조 전 부회장이 무엇 때문에 주로 당시 여권 인물들에게 돈을 건넸으며 그 대상이 과연 이들밖에 없었겠느냐이다. 당시는 '국민의 정부' 시절로 여당인 민주당엔 핵심 실세들이 많았는데 이들이 로비 대상에서 빠졌다는 건 이치에 닿지 않는 얘기가 아니냐는 의혹이 당연히 제기된다.

또 김한길 의원은 2000년 3월 16대 민주당 총선기획단장으로 있으면서 평소 알고 지내던 조씨로부터 1억원을 받아 당일 여론조사비용으로 지불했다면서 국민들에게 사과를 했다. 그러나 당초 검찰은 조씨가 2001~2002년에 김 의원에게 돈을 건넸다는 진술을 받아냈다고 했었다. 돈을 수수한 시점이 2001년 이후라면 그땐 이미 16대 총선을 치른 뒤이기 때문에 김 의원의 해명은 전부 거짓이라는 결론에 이른다.

더욱이 당시 민주당 핵심 관계자들은 김 의원이 조씨로부터 돈 받은 사실을 당에 보고한 적도 없고, 들은 사람도 없으며, 여론조사를 두 군데 맡겼는데 모두 선금으로 지불했다면서 김 의원 개인 비리 차원의 검찰 수사를 촉구했다. 돈 받은 시점과 양측 주장 중 어느 것이 맞는지도 검찰이 밝혀낼 핵심 내용이다.

수억원을 받은 국회의원들은 정치자금법 3년 시효를 지나쳐 무사하고, 농림부 차관의 경우 100만원을 받았는데도 옷을 벗게 되는 이 모순을 푸는 것도 검찰의 몫이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