혈관에 염증이 있음을 나타내는 단백질인 과민
성 C-반응성 단백질(hs-CRP) 수치가 높으면 관상동맥이나 뇌동맥이 막혀 심장마비나
뇌졸중이 발생할 위험이 높다는 경고신호라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미국 메이요 클리닉 심장병 전문의 비조이 칸데리아 박사는 '내과회보' 최신호
에 발표한 연구보고서에서 몸 전체에 혈액을 운반하는 가장 큰 동맥인 대동맥이 부
분적으로 협착된 사람들은 CRP수치가 높다고 밝힌 것으로 헬스데이 뉴스 인터넷판이
17일 보도했다.
칸데리아 박사는 심장병이 없는 40-100세의 남녀 386명(남성 53%, 여성 47%)을
대상으로 경식도(經食道)심초음파검사를 통해 대동맥 내막을 관찰하고 그 결과를 혈
중 CRP수치와 비교해 보니 CRP수치가 높은 사람은 대동맥에 플라크가 형성되어 있을
가능성이 평균 70%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또 CRP수치가 높을수록 플라크 퇴적량도 많은 것으로 밝혀졌다고 칸데리아 박사
는 말했다.
칸데리아 박사는 흉통이나 기타 심장병과 관련된 증세가 있는 환자는 CRP수치가
높다고 알려져 있지만 CRP수치가 동맥협착과 직접적인 관계가 있음이 밝혀진 것은
이번이 처음이라고 말했다.
칸데리아 박사는 hs-CRP수치는 혈중 콜레스테롤검사와 비슷한 아주 간단한 혈액
검사로 측정할 수 있다면서 hs-CRP검사를 일반화시켜야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이 검사는 간단하기도 하지만 검사비용도 비교적 싸다고 그는 덧붙였다.(서울=연합뉴스)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우리 아기가 태어났어요]신세계병원 덕담
'이재명 선거법' 전원합의체, 이례적 속도에…민주 "걱정된다"
"하루 32톤 사용"…윤 전 대통령 관저 수돗물 논란, 진실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