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비쿼터스(Ubiquitous)가 산업은 물론, 행정, 가정생활 등에서 새로운 정보통신혁명을 몰고올 것으로 기대되고 있는 가운데 대구 칠곡3지구에 유비쿼터스 시범지역(U-Zone)을 구축해보자는 움직임이 나타나고 있다.
U-Zone 구축은 대구 북구지역 주민 대표 및 학계 등이 공동 제안한 것으로 대구시는 타당성 조사를 거쳐 가능성이 있다고 판단될 경우, 재정지원을 통해 대구시 사업으로 확정, 본격 추진할 방침이다.
김충환 대구시 의원, 김향자 경운대 총장 등은 U-Zone 민간 추진위원회를 구성, 17일 오후 대구시청에서 발대식 및 토론회를 가졌다.
추진위원회 구상에 따르면 U-Zone에서는 행정기관이 무선랜망을 이용, 지방세 체납관리 및 주정차 관리, 견인차량 추적, 수배자.도난차량 조회 등을 하고 상수도 검침 및 시설물 점검, 환경훼손 감시 등도 원격 시스템으로 운용한다는 것. 또 민간부분에도 유비쿼터스 체제를 확산시켜 POS시스템 등 모든 상거래 행위를 유비쿼터스 환경에서 처리해보겠다고 추진위원회는 밝혔다.
추진위원회는 대구 북구 칠곡3지구 경우, 우리나라 IT 산업 집적지인 구미와 인접한 데다 구미와 연계된 모바일 업체가 밀집, 기술보급이 용이해 U-Zone 시범지구로 최적의 위치라고 밝혔다.
게다가 이곳은 신규 택지개발지여서 광케이블.홈네트워크 등 정보통신 인프라가 상대적으로 발달돼 있는 것은 물론 남으로 금호강, 북으로 산악지형으로 둘러싸여있는 경계명확 구조인 데다 대구에서 가장 젊은층이 많이 사는 지역으로서 독립된 U-Zone의 역할에 최적이라는 것. 추진위원회는 U-Zone이 활성화되면 유비쿼터스 관련 연구개발기관 유치가 잇따르고 향후 유비쿼터스 국제인증센터 설치도 가능할 것으로 예상, 대구의 새로운 성장동력 축이 될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
김충환 의원은 "올 상반기부터 U-Zone 설치 논의를 해왔으며 대구시에 타당성 조사를 위한 재정지원을 공식 요청할 방침"이라며 "지방정부가 이 사업을 주도해줄 것으로 믿고 있으며 좋은 결과를 맺을 수 있을 것"이라고 했다.
이에 대해 대구시는 "U-Zone 시범지역 입지로 대구 칠곡지역이 유망한 것은 사실"이라며 "인천 등 다른지역에도 시범지구가 있는 것으로 알고 있으며 대구시 차원에서 정밀하게 사업타당성을 검토, 조만간 시 재정지원여부를 확정할 것"이라고 말했다.
최경철기자 koala@imaeil.com
△유비쿼터스(Ubiquitous)=물이나 공기처럼 시공을 초월해 '언제 어디에나 존재한다'는 뜻의 라틴어로서, 사용자가 컴퓨터나 네트워크를 의식하지 않고 장소에 상관없이 자유롭게 네트워크에 접속할 수 있는 환경을 말한다.
1988년 미국의 사무용 복사기 제조회사인 제록스의 와이저(Mark Weiser)가 '유비쿼터스 컴퓨팅'이라는 용어를 사용하면서 처음으로 등장했다.
유비쿼터스화가 이루어지면 가정·자동차는 물론, 심지어 산 꼭대기에서도 정보기술을 활용할 수 있고, 네트워크에 연결되는 컴퓨터 사용자의 수도 늘어나 정보기술산업의 규모와 범위도 그만큼 커지게 된다.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대법원, 이재명 '선거법 위반' 사건 전원합의체 회부…노태악 회피신청
전광훈 "대선 출마하겠다"…서울 도심 곳곳은 '윤 어게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