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숨만 나오네' 추석 연휴를 1주일가량 남겨둔 정치권은 '달라진' 명절 분위기를 실감하고 있다.
과거 이맘때 쯤이면 서울 여의도 국회의원 회관 주변에는 한과 세트나 과일바구니, 고추장.멸치.김 등 지역 특산품 등과 같은 추석 선물을 옮기는 택배업체 직원이나 퀵서비스 맨으로 붐볐지만 올해는 사정이 달라졌다.
대구지역 한 의원은 "이런 명절'가뭄'은 처음 봤다"며 "추석을 1주일 앞두고 아직 선물 구경을 못해봤다"고 혀를 내둘렀다.
경북 한 의원도 "선물을 든 정부부처 공무원 수도 몰라보게 줄어들었다"며 "오히려 선물을 든 사람이 주위 시선을 의식해야 할 판"이라며 국회 분위기를 전했다.
경북 의원 한 보좌관은 "16대만 해도 추석과 국감을 끼고 의원 후원회를 열어 재미를 쏠쏠히 봤지만 '아~옛날이여'라는 말이 절로 나올 정도"라고 했다.
그러나 의원들의 고민은 지역구에 있다.
해마다 지역구 관리차원에서 해 오던 선물을 올해부터 끊기가 마뜩잖기 때문이다.
경북 지역 한 의원은 "안 받으면 그만이지만 안 줄 수는 없어 고민"이라며 "어떻게 해야 할지 거푸 한숨만 나온다"고 토로했다.
또 다른 경북 의원도 "현금 2억원 굴비 사건에다 100만원을 받아 경질된 농림부차관 사건 이후 집으로 선물을 보내겠다는 전화가 와도 덜컥 겁이 난다"고 했다.
이 같은 변화는 선거기간 외에도 불법 기부행위를 엄하게 처벌하도록 강화된 선거법 규정에 기인하고 있다.
대구 의원 한 보좌관은 "선거법이 바뀌기 전에는 명절마다 지구당의 관리장급 간부들에게 선물을 보낼 수 있어 적게는 300여명부터 많게는 1천명 가까이 1만원 안팎의 선물을 보내온 것이 사실"이라며 "지금은 이마저도 할 수 없는 형편"이라고 말했다.
선물 주고받기 분위기가 줄어든 데는 민주노동당의 역할도 적지 않았다.
민주노동당은 지난주'추석 선물에 관한 당방침'을 마련, 주위를 놀라게 했다.
당 한 관계자는 "피감 기관 및 이익집단 등 로비의혹이 있는 기관이나 단체에 선물을 보내지 말 것을 공지한다"면서 "그럼에도 보내진 선물에 대해서는 모두 목록을 작성, 공개하겠다"고 말했다.
때문에 이번 추석 연휴기간 중 '몸'이나 '입'으로 때우려하는 계획을 잡고 있다.
지역 한 초선 의원은 "명절 미풍양속인데 죄송한 마음이 들지만 몸으로 때울 수밖에 없지 않느냐"며 "발품이라도 팔아 선거운동하듯 지역구를 누비겠다"고 말했다.
그러나 다른 초선 의원은 "몸으로 때운다고 해서 지역구민이 속사정을 알아줄지, 오히려 욕을 더 먹지 않을까 걱정스럽다"고 했다.
각 정당의 시도당 역시 답답하기는 마찬가지다.
집권 여당이지만 현역 의원을 한 명도 배출하지 못한 열린우리당은 그야말로 조용한 명절을 맞이하고 있다.
시도당 상근직원에게는 위원장 명의로 성의 표시가 가능하게 돼 있지만 별로 기대할 수 없다는 분위기가 지배적이다.
김현근 대구시당 사무처장은 "당원이나 당직자들이 민주당이나 국민회의 시절보다 못해졌다고 생각할지 모르겠다"고 걱정했다.
한나라당 대구시당의 김외철 부처장은 "마땅한 방법이 없다.
선물은 생각도 못하고 있다"고 말했다.
김 부처장은 "주요 당직자에게 한정적으로 인사말과 인사장 정도만 보낼 것을 검토 중이지만 이것 역시 선거법에 저촉이 되지 않는지 알아볼 생각"이라며 "달리 어쩔 수 없다"고 말했다.
이동관기자 llddkk@imaeil.com
김태완기자 kimchi@imaeil.com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대법원, 이재명 '선거법 위반' 사건 전원합의체 회부…노태악 회피신청
전광훈 "대선 출마하겠다"…서울 도심 곳곳은 '윤 어게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