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한국종단송유관 토양오염 비상

지역 매설위치 공개 않아

한국종단송유관(TKP)의 부식 및 토양오염 피해가 지역에도 심각할 것으로 관측되고 있다.

이에 따라 지역 정치권과 대구시.경북도에서도 피해규모 진상 파악 및 대책 마련에 적극 나서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되고 있다.

▲피해 실태

열린우리당 이목희.임종인.최재천 의원은 20일 "송유관 검사 결과 30% 이상 부식된 곳이 206곳, 80% 이상 부식이 진행된 곳도 2곳으로 확인됐다"며 "송유관 파손시 심각한 환경오염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고 주장했다.

지난 4월 안양시에는 TKP 송유관이 매설된 지역에서 잔존 기름이 원인이 돼 폭발 사고가 일어났다.

안양시 주민들은 "수질과 토양오염은 물론이고 기름이 유출되면서 지하수까지 더럽힌다"며 정부를 상대로 행정소송을 제기한 상태다.

이 밖에도 지난 92년 이후 발생한 송유관 파손 기름유출 사고 건수 총 19건 중 16건이 TKP에서 발생한 것으로 사고발생 빈도가 높은 것으로 알려졌다.

지역에서는 왜관∼세천 300곳 등이 부식정도가 심각한 것으로 드러났지만 피해 규모 자료는 전무한 상황이다.

▲피해보상 촉구

대구.경북에 매설된 TKP 실태 파악이 시급한 실정이다.

어디에 묻혔는지를 알아야 피해보상 및 사유재산권을 행사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목희 의원은 "TKP 매설지 토지 소유주가 소송을 하면 보상을 받을 수 있는데 현재는 누구의 땅에 얼마만큼 묻었는지 조차 감추고 있는 상황"이라며 "TKP관리 기관이 정부에서 민간으로 이전 됐다는 점을 들어 매설 지점 공개여부를 지연하고 있는데 정확한 매설도 공개가 시급하다"고 주장했다.

최재천 의원은 "매설도가 공개되면 보상금은 천문학적 수치로 나타날 것"이라며 "피해보상자들이 늘어나는 것은 물론 보상 이후 오염 지역에 대해서는 오염 복구 비용도 투입해야 하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현재 TKP가 매설된 지역 총 162만평 중 사유지 87만평이 보상 절차 없이 무단 점유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박상전기자 mikypark@imaeil.com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