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대구시민회관 개보수 예산 낭비 논란

대구시민회관의 이전·신축이 검토되고 있는 상황에서 대구시설관리공단(이사장 이현희)이 대구시민회관에 대한 리모델링을 추진하고 있어 예산 낭비 논란을 불러일으키고 있다.

대구시로부터 위탁받아 대구시민회관을 관리하고 있는 대구시설관리공단은 대구시민회관 대공연장과 소극장 등 공연장의 기능강화를 위한 컨설팅을 올해 실시하고 건물, 냉난방시설, 조명·음향시설, 관람석 정비 등을 연차적으로 추진하겠다며 소요 사업비를 내년도 대구시 예산에 편성해 달라고 시에 요청했다.

대구시설관리공단은 또 총 사업비 7억원(국비 4억9천만원·시비 2억1천만원)를 들여 소강당 전기시설을 50㎾급 태양광 발전시설로 교체하는 사업을 추진하고 있으며 사업비 1억8천여만원이 소요되는 경부고속철 방음벽 설치를 놓고 철도청과 협의 중이라 밝혔다.

대구시설관리공단은 올해 이미 2억4천여만원의 사업비를 들여 대강당 무대바닥과 분장실·편의시설을 개체하고 공연 안내용 LCD전광판을 설치하는 등 2008년을 목표연도로 하는 대구시민회관 리모델링 계획을 진행하고 있다.

그러나 대구시민회관은 현재 대구시에 의해 이전 또는 신축이 검토되고 있는데다 경부고속철 대구도심 통과 구간이 지상화 방식으로 결정날 경우 건물이 헐릴 수밖에 없어서, 대구시설관리공단의 이같은 계획은 예산 낭비 논란을 빚고 있다.

대구시설관리공단 측은 이에 대해 "대구시민회관의 시설 노후화 등에 따라 최소한의 시설 개·보수를 하기 위해 예산을 대구시에 신청했으며 적정 사업비 규모를 시와 협의하고 있다"고 밝히고 "경부고속철이 지상화되더라도 공사에 8년이 소요되는 만큼 시설에 대한 개·보수 필요성이 있다"고 주장했다.

이에 대해 대구시 정하영 문화체육국장은 "대구시설관리공단이 내부적으로 검토한 뒤 예산을 요구한 것으로 알고 있지만 결정난 것은 없다"며 "고속철도 지상화 문제 등 변수에 따라 자칫 예산 낭비가 될 수 있는 만큼 고속철 지상화·지하화가 대구시민회관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종합적인 분석을 한 뒤 이전 또는 리모델링 여부를 결정한다는 것이 시의 방침"이라고 말했다.

1975년 개관한 대구시민회관이 철길과 인접한 입지적 단점에다 시설 노후화, 위탁 기관의 적정성 등 문제점이 겹치면서 제 구실을 못하고 있다는 지적에 따라 대구시는 대구시민회관을 이전·신축하고 관리권을 되돌려받는 방안 등을 모색하고 있다.

김해용기자 kimhy@imaeil.com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