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아프간 소녀 마리나에게 쏟아진 박수

"조국을 위해 뛰어 너무 행복합니다."

전쟁의 상흔이 채 가시지 않은 아프가니스탄의 장애인 소녀 마리나 카림(14)은 21일 2004아테네 장애인올림픽 육상 여자 100m 예선에서 꼴찌를 했지만 "훌륭한 운동선수가 되고 싶고, 나이가 더 들면 의사가 되고 싶다"며 당당히 포부를 밝혔다.

두 다리가 없어 의족을 끼고 뛴 마리나는 9명으로 구성된 '초미니' 참가국 아프가니스탄 선수단의 당당한 일원이다.

마리나의 아테네행에는 각별한 의미가 있다.

장애인올림픽에 참가하는 아프간의 첫 여자다. 선수단 가운데 나이도 가장 어리다. 마리나로선 이번이 국제대회 첫 출전이다. 118대 1의 치열한 국내 경쟁을 뚫고 어렵게 출전했다. 마리나는 "여기에 올 수 있게 돼 너무 행복하고 조국을 위해 뛸 수 있다는 게 더욱 행복하다"고 말했다.

아프간은 엄격한 이슬람 국가. 옛 집권세력 탈레반 치하에서는 여성들이 인격체로 대접받지 못했다. 그만큼 여성들에 대한 압제가 심했다. 따라서 마리나는 탈레반 정권 몰락 이후 새로운 변화를 모색하고 있는 아프간의 상징으로 이번 대회에 출전한 인 셈이다.

더욱이 아프간의 장애인은 비참하다. 편의시설이라곤 어디에도 찾아볼 수 없다. 1m40, 40㎏도 안되는 왜소한 체구의 마리나 어깨엔 이같은 현실에 대한 묵중한 희망이 걸려 있다.

마리나는 "아버지, 엄마, 형제 자매들, 삼촌들이 배웅하기 위해 카불 공항에 나왔다. 메달을 잔뜩 기대했다"며 메달 욕심을 내기도 했다. 형제, 자매만도 18명이나 되는 대가족이다. 이들은 내전을 피해 수도 카불로 옮겼으나 여기에서도 내전으로 찢겨나간 집에서 산다.

마리나는 두 다리가 왜 없는지 기억해내지 못한다. "두 다리가 불에 타 병원에서 절단했다"는 말만 들었다.

그러나 마리나는 이미 국내에선 유명 인사다. 아프가니스탄 TV, 라디오의 집중 인터뷰 대상이다. 탈레반 이후 공립학교에 입학한 첫 여학생인 점도 주목받는 이유다.

아프가니스탄의 이번 참가 경비는 노르웨이가 댔다. 아테네에 오기 전 2주간 노르웨이에서 전지 훈련도 했다. 이를 포함, 마리나는 두달정도밖에 훈련을 받지 못했다. 마리나의 바람과는 달리 올림픽 메달은 요원하다.

21일 올림픽 메인스타디움에서 벌어진 열린 2조 예선에서 마리나는 8명 중 최하위로 골인했다. 기록은 18초85. 1위를 한 호주의 윈터스 에이미(12초64)와는 6초21 차이가 났다. 하지만 마리나를 향한 박수는 스타디움을 진동했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