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불황에 재래시장, 상가 시세도 하락

경기침체로 상가 권리금과 임대료 하락세가 지속되는 가운데 특히 재래시장 상권의 권리금과 임대료 하락세가 두드러진 것으로 나타났다.

부동산정보제공업체 부동산114가 올 3/4분기 수도권 상가 시세를 조사한 결과 평당 월임대료는 평균 11만3천원, 권리금은 356만5천원으로 전분기에 비해 0.3%, 2.9% 각각 하락한 것으로 집계됐다고 29일 밝혔다.

서울의 경우 임대료가 11만9천원, 권리금이 389만6천원으로 각각 0.7%, 2.8% 하락했다.

특히 재래시장이 밀집된 영등포동 상권의 경우 임대료가 평당 6만4천원으로 전분기에 비해 10.2% 하락했으며 평당권리금도 9.5% 하락한 74만9천원에 그쳐 조사대상 지역 중 권리금이 가장 낮았다.

대표적 재래시장인 남대문 상권 역시 평당 임대료가 전분기 대비 1.3% 하락한 것으로 조사됐다.

시장 상가 관리사업을 하는 동남디벨로퍼 이세호 대표는 "경기가 워낙 안 좋아 임대료도 제때 못 내는 상인들이 많다"며 "새로 장사를 하려는 사람은 거의 없어 빈점포가 심각할 정도로 많으며 권리금은 받을 생각도 못하고 있다"고 전했다.

반면 노량진 상권의 경우 고시학원이 밀집해 유동인구가 많은 데다 인근 지역이 뉴타운으로 지정되면서 임대료가 평균 6.5% 상승했으며 신촌 역시 임대료와 권리금이 각각 9.2%, 15.9% 올랐다.

경기도에서도 군포 산본역 상권은 임대료가 전분기 대비 1.1%, 권리금은 12.2% 하락한 반면 분당 정자역 상권 임대료는 26.5%, 야탑역은 11.6% 상승하는 등 지역별등락 교차가 뚜렷하게 나타나고 있다.

분당의 경우 정자동 일대 주상복합아파트의 입주 개시로 신축 건물 임대가 시작되면서 인근 상가 시세가 큰 폭으로 오른 것으로 분석됐다.

부동산114 관계자는 "상가는 내년부터 실시되는 통합과세 대상에 포함되지 않지만 한 건물이라도 층별, 위치별로 기준시가가 다르게 산정돼 기준시가가 대폭 올라갈 전망이어서 세금부담 증가가 임대료에 반영될 것으로 예상된다"고 말했다.

(연합)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