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수도이전? 뾰족수 없네...한나라 대안마련 시름

행정수도 이전 당론을 어떻게 정리할까. 수도이전 당론 결정을 두고 한나라당의 시름이 깊어가고 있다.

이전 대안을 확정짓지 못한 상태에서 관제데모 논란마저 불거졌기 때문이다.

여기다 당 수도이전 특위가 별도 안(案)을 내놓고 관철 의지를 다지곤 있으나 여전히 의원 상당수가 마뜩찮다는 의견을 내비치고 있다.

김덕룡(金德龍) 원내대표는 29일 "여권이 수도이전 등을 계속 밀어붙이기로 강행한다면 단순한 서명운동 차원을 떠나 국민청원운동 같은 범국민적 투쟁을 벌여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이한구(李漢久) 정책위의장은 "현행 예산제도의 경우 500억원 이상 대규모 사업을 추진할 경우 사업시행 전에 예비타당성을 조사하게 돼 있는데 수십조가 넘는 국책사업을 추진하면서 타당성 조사도 없다"고 비난했다.

김 대표와 이 의장의 발언은 이전 대안을 둘러싼 당내 갈등을 외부적인 투쟁으로 풀려는 의지로 해석된다.

열린우리당이 '관제데모 진상조사단'을 구성하자, 즉각 '야당단체장 탄압 진상조사단'을 만든 것도 같은 이유에서다.

이날 두 사람은 '대안 없는 반대 당론'을 둘러싼 당내 이견을 어떻게 해소할 것인지에 대해선 아무런 언급이 없었다.

고작 "충청권의 기대심리에 비춰 충청권 대책을 어떻게 세울 것인가를 두고 찬반 논의가 진행 중"이라는 김 대표의 말이 전부였다.

오히려 "구체적으로 어떤 액션을 취할지 결정이 안됐으나 앞으로 할 것(김 대표)"이라고 강조, 당내 문제보다는 장외투쟁에 무게 비중을 실었다.

당 핵심 관계자는 "지난 23일 당 수도이전 특위가 충청권 '행정특별시' 건설을 골자로 한 대안을 내놓은 이상 이를 뒤집지는 못할 것"이라며 관철의지를 다졌다.

이 관계자는 "추석 귀향 민심을 종합한 결과, 수도이전에 모두 부정적이더라"면서 "이전 반대에 대한 여론도 우리쪽"이라고 덧붙였다.

그러나 충청권 대책이 시원찮다는 것이 문제다.

또 영남권을 중심으로 상당수 의원들이 "(수도이전 특위가 제시한) 이 정도의 대안으로 수도이전을 반대하자는 것은 충청을 제2의 호남화하자는 것"이라며 불만을 터뜨리고 있다.

때문에 박근혜(朴槿惠) 대표의 결단만 남았다는 분석도 나온다.

어차피 의견조정이 쉽지 않다면 박 대표가 정면돌파 할 수밖에 없다는 얘기다.

그러나 박 대표 역시 당 장악력에 한계를 드러낸 이상 대안 결정을 미룬 채 대여 공세에 치중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는 분석이다.

김태완기자 kimchi@imaeil.com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