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주택공사를 내세워 대구에서 지난 1999년부터 추진 중인 저소득층을 위한 국민임대주택 건설사업이 물량확보에 급급한 나머지 수요자의 편의성 등은 외면하고 있다.
대구시내 수요자들을 겨냥한 주택을 도심에 부지가 없다고 해서 시외곽지도 아닌 경북지역에 건설하고 있는 것이다.
주택공사 대구경북지역본부는 대구시내 수요자들을 겨냥한 국민임대주택 290가구를 고령군 다산면 상곡리 162 일대에 건설(2006년 3월 준공 예정)키로 하고, 부지 3천819평을 확보한 가운데 이달말쯤 1차 분양에 들어갈 예정이다.
여기에다 또 주공은 수요분석도 하지 않은 채 인근 7천200평에 496가구를 지을 계획이다.
지난 2003년 10월 경북도로부터 사업승인을 얻어 오는 2007년 3월 준공할 예정으로 추진 중이다.
문제는 이들 국민주택을 저소득층이 분양을 받더라도 생업을 위해 대구로 출퇴근하는데 애를 먹는 것은 물론 주변 여건을 감안할 때 정착률이 크게 떨어질 수밖에 없다는 데 있다.
대구에서 달성군 화원을 지나 다리(삼원진교)를 건너야 하는 곳으로 노선 버스가 있다곤 하지만 사실상 자가용 없인 대구시내를 왕래하기 어려운 여건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저소득층의 주거안정이라는 국민임대주택 건설 취지를 살리기 위해서는 지하철과 시내버스 등 대중교통 시설망이 확충된 도심을 중심으로 해당 주택을 건설해야 한다는 지적이다.
국민임대주택 분양을 기다리고 있는 김모(37·대구 달서구 신당동)씨는 "대중교통을 이용, 출퇴근을 할 수 있는 지역에서 분양하는 국민임대주택은 찾아볼 수 없다"면서 "자가용이 없는 서민들을 위해 대중교통망이 갖춰진 시내에 국민임대주택을 건설해 줬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이에 대해 주공 관계자는 "국민임대주택은 대중교통망을 우선 조건으로 건설돼야 하지만 대구 도심은 물론이고, 시내에 국민임대주택을 건설할 수 있는 부지가 없는 데다 사업승인을 얻은 몇몇 단지에서는 슬럼화를 우려한 해당 기초단체의 반발로 국민임대주택 건설 계획이 표류하고 있다"고 밝혔다.
한편 주공 지역본부는 대구·경북지역에서 1999년 1천608가구, 2000년 490가구, 2001년 2천404가구, 2002년 3천910가구, 2003년 7천280가구, 2004년 6천364가구를 공급할 부지를 확보, 사업승인을 받아 공급 또는 준공했거나 분양절차를 밟고 있다.
황재성기자jsgold@imaeil.com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이재명, 민주당 충청 경선서 88.15%로 압승…김동연 2위
전광훈 "대선 출마하겠다"…서울 도심 곳곳은 '윤 어게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