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모의수능 수리 '가'·'나'형 최고점 18점 差

'선택과목 선택' 본수능 비슷

지난달 16일 치러진 수능시험 모의평가에서 수리영역 선택과목인 '가'형과 '나'형의 표준점수 최고점 차이가 18점에 달하는 등 같은영역의 선택과목간 점수차가 상당히 컸던 것으로 나타났다.

또 이번 모의고사 때 이미 수험생의 영역 및 선택과목에 대한 결정이 거의 끝나영역별.선택과목별 응시자 비율이 11월17일 실시되는 본수능과 유사한 것으로 조사됐다.

한국교육과정평가원은 수험생 53만3천625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9월 수능시험 모의평가 채점 결과를 8일 발표하고 9일 개인별 성적통지표를 나눠주기로 했다.

◆선택과목별 최고성적 최대 18점차 = 수리 '가'형 원점수 최고점수의 표준점수(0~200점)는 145점, '나'형은 163점으로 무려 18점 차이가 났다.

1등급과 2등급을 구분짓는 표준점수도 '가'형 134점-'나'형 142점으로 '나'형이8점 높았다.

지난 6월 모의고사 때 '가'형 136점-'나'형 142점, 지난해 모의고사 때 '가'형141점-'나'형 147점으로 '나'형이 각각 6점 높았던 것과 비교하면 '나'형 점수가 지속적으로 높을 뿐 아니라 점수차가 2점 더 벌어진 것.

따라서 주요 대학이 '가'형에 가중치를 주는 점을 감안하면 '가'형 최고점수는10% 가중치를 받더라도 '나'형 최고점수에 미치지 못하고, 똑같은 1등급 커트라인에걸렸더라도 1% 가중치를 부여하는 대학에서는 '나'형이 6.66점, 5% 가중치를 주는대학에서는 '나'형이 1.3점, 10% 가중치를 주는 대학에서는 '가'형이 5.4점 높은 점수를 받는 셈이 된다.

언어(0~200점)와 외국어(영어, 0~200점)는 원점수 최고점수의 표준점수가 143점으로 똑같았으나 129점, 136점에서 각각 1등급과 2등급이 갈렸다.

탐구영역(0~100점) 선택과목별 최고성적은 사회탐구가 61(세계사)~74점(정치), 과학탐구가 64(화학Ⅰ,생물Ⅰ)~70점(지구과학Ⅱ)으로 13점 차이가 생겼다.

또 1등급 하한 점수는 ▲사회 61(세계사)~66점(정치,경제) ▲과학 62(화학Ⅰ,생물Ⅰ)~66점(물리Ⅰ,화학Ⅱ) 등 4~5점 차이를 보였다.

제2외국어/한문은 중국어Ⅰ, 아랍어Ⅰ, 한문의 1등급 커트라인이 65점으로 가장높았고 일본어Ⅰ과 러시아어Ⅰ이 62점으로 가장 낮았다.

평가원은 표준점수를 입학 전형에서 그대로 사용하면 선택과목별 원점수 만점자의 표준점수가 달라지는 등 유.불리가 발생할 수 있다는 점을 고려해 대부분 대학이백분위를 활용하거나 백분위를 표준점수화하는 등의 보완책을 마련한 상태여서 선택과목간 표준점수 차이에는 크게 신경을 쓰지 않아도 된다고 강조했다.

◆본수능 선택 경향 그대로 나타나 = 영역별 응시율은 언어 98.7%, 수리 89.8%, 외국어 99.2%, 탐구 98.8%, 제2외국어/한문 11.3%였다.

본수능 원서접수 결과는 언어 98.8%, 수리 87.7%, 외국어 99.8%, 탐구 99.7%, 제2외국어/한문 21.6%로, 제2외국어/한문 선택자가 배 가량 많아지는 정도.

선택과목별로는 수리의 경우 '가'형이 27.3%, '나'형이 72.7%로 6월 모의고사의'가'형 33.9%-'나'형 66.1%와 비교해 '가'형 선택 비율이 크게 떨어졌다.

본수능도 '가'형 28.7%-'나'형 71.3%여서 6월 모의고사와 비교하면 수학Ⅰ만 출제범위에 포함되는 '나'형 선택자가 5%포인트 이상 많아진 것.

이는 '나'형이 출제범위가 좁아 집중적인 공부가 가능한 데다 표준점수도 대체로 높게 나타나 '가'형에 가중치를 주더라도 충분히 만회할 수 있다는 판단이 작용했기 때문인 것으로 분석된다.

수학Ⅰ과 수학Ⅱ는 물론 선택과목까지 있는 '가'형에서는 '미분과 적분' 선택이96.3%로 압도적으로 많았고 '확률과 통계' 2.9%, '이산수학' 0.8% 순이었다.

따라서 자연계열 모집단위를 지원할 수험생들의 '가'형 선택을 유도하기 위해서는 '가'형 및 '나'형의 난이도 조정을 통해 표준점수 차이를 좁혀야 하는 게 평가원숙제로 남게 됐다.

4과목까지 고를 수 있는 사회탐구영역의 선택 비율은 한국지리, 사회문화, 한국근현대사, 윤리, 국사, 정치, 경제, 법과 사회, 세계지리, 경제지리, 세계사 순이었고 과학탐구는 화학Ⅰ, 생물Ⅰ, 물리Ⅰ, 지구과학Ⅰ, 화학Ⅱ, 생물Ⅱ, 물리Ⅱ, 지구과학Ⅱ 순으로 6월 모의고사 때와 같았다.

사회.과학탐구에서 3~4과목, 직업탐구에서 3과목을 선택한 수험생이 95% 안팎으로 압도적인 비율을 차지했다.

(연합뉴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