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트남 하노이에서 열린 제5차 아시아·유럽정상회의(ASEM)가 9일 의장성명을 채택하고 폐막됐다.
노 대통령은 대(對) 아시아·유럽 외교를 확대할 수 있는 최고위급 다자외교 무대인 이번 ASEM을 통해 적잖은 성과를 거두었다.
북핵문제의 평화적 해결을 통한 한반도 평화·안정에 대한 회원국 정상들의 지지를 재확인한 것을 비롯, 양자 및 다자접촉을 통한 경제·통상외교 강화, 한국의 핵물질 실험에 대한 국제적 의혹해소와 신뢰 확보라는 큰 소득을 얻었다.
무엇보다 북핵의 평화적 해결과 남북교류에 대한 ASEM 정상들의 지지와 이해를 구한 점은 4차 6자회담이 교착상태에 빠져있음을 감안할 때 국제적 환경 조성이라는 측면에서 큰 소득이 아닐 수 없다.
노 대통령은 7일 저녁 중국 측의 초청으로 전격적으로 이뤄진 원자바오(溫家寶) 중국 총리와의 회동에서도 북핵의 평화적 해결이라는 원칙을 재확인한 것은 이런 맥락에서 의미가 적지 않다.
특히 ASEM 폐막과 동시에 9일 채택된 의장성명에 한반도 관련조항이 포함된 것은 노 대통령의 'ASEM 외교'의 구체적인 성과라 할 수 있다.
ASEM 정상들은 '의장성명'에 북핵의 평화적 해결과 6자회담 과정을 통한 한반도의 비핵화에 대해 강한 지지 표명과 함께 6자회담의 조속한 재개를 촉구하는 내용을 포함시켰다.
노 대통령을 수행한 청와대 고위관계자는 "북핵과 남북관계에 대한 노 대통령의 적극적인 설명으로 국제사회에 '안보 신뢰감'을 제고하는 계기가 됐다"고 분석했다.
아울러 노 대통령은 IAEA(국제원자력기구)가 문제삼은 한국의 핵물질 실험에 대한 ASEM 회원국들의 '의혹어린' 시선을 털어내는 데도 큰 역할을 했다.
이 문제는 게르하르트 슈뢰더 독일 총리(8일), 마렉 벨카 폴란드 총리(9일), EU 집행위 차기 의장인 장 클로드 융커 룩셈부르크 총리(9일) 등과의 양자회동, 베트남총리가 주최한 ASEM 회원국 정상과의 만찬(7일) 석상에서의 다자접촉에서 심도있게 논의됐다.
이 자리에서 노 대통령은 '평화적 핵 이용에 관한 4원칙'을 거듭 설명하면서 ASEM 정상들의 오해를 불식하는 데 총력을 기울였고, 상당한 성과를 거두었다는 게 청와대 측 설명이다.
뿐만 아니라 노 대통령은 세계경제 3대축(아시아·유럽·북미) 중 두개를 차지하는 대아시아 및 유럽과의 경제·통상외교를 강화함으로써 국내경제 활력에 대한 기대감을 불러일으키고 있다.
이번에 가입이 확정된 캄보디아, 라오스, 미얀마 등 아시아 3개국과 헝가리, 폴란드, 체코 등 유럽 10개국 등 총 13개 신규회원국과의 잇단 다자접촉을 가진 것도 이런 측면에서 주목할 부분이 적지 않다.
신규회원국을 대상으로 새로운 시장 진출의 여건을 마련하는 등 중·동구 국가들과의 협력 가능성을 열어놓은 것은 시장다변화를 추구하고 있는 우리 입장에선 여간 다행스런 일이 아니다.
아울러 노 대통령은 ASEM 회원국들의 공통관심사이기도 한 유엔의 개혁문제에 대해 분명한 입장을 밝힘으로써 ASEM 회원국으로서 주도적인 역할을 하는 모습도 보였다
노 대통령은 8일 하노이 국제회의장(ICC)에서 열린 정치분야 정상회의에 참석, "유엔개혁은 민주성과 지역대표성이 반영되는 방향으로 이뤄져야 한다"고 당당하게 입장을 밝혔다.
아울러 'ASEM 장학사업'의 향후 5년 간 연장과 '사이버보안 강화 사업'을 제안하고 ASEM의 실질적 협력체로서의 발전 비전을 천명함으로써 ASEM 내 한국의 위상이 한층 강화되는 효과도 얻었다.
(연합)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대법원, 이재명 '선거법 위반' 사건 전원합의체 회부…노태악 회피신청
국정원, 中 업체 매일신문 등 국내 언론사 도용 가짜 사이트 포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