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상도와 전라도로 통하는 대로에서 주막을 운영하는 한 모 여인. 50세인 한씨는 올해로 10년째 주막을 열고 있다.
그를 통해 주막이 어떤 곳인지 확인해 보았다.
- 주막을 찾는 손님은 어떤 사람들인가?
△ 전국을 떠도는 상인들이 대다수다.
간혹 지방에서 서울로 가는 관리들이 오기도 하지만 드물다.
관리들은 주로 관청에서 운영하는 역과 원을 이용한다.
- 손님들에게 제공되는 것은 어떤 것들이 있나?
△ 국밥 한 그릇을 먹으면 잠잘 방은 공짜다.
한 방에 보통 열 명씩 잔다.
그러나 많을 때는 열 다섯 명이 함께 자기도 한다.
방이 부족하니 양반과 상인이 따로 방을 쓸 수는 없다.
자기 물건은 자기가 잘 지켜야 한다.
가끔 물건을 잃었다고 행패 부리는 사람들이 있는데 참 답답하다.
술을 원하는 손님에게는 술도 판매한다.
- 짚신이나 땔감은 대주지 않나?
△ 그런 것은 큰 주막에 가서 찾아 보라. 우리 주막에서는 보릿고개 때 밥도 제공하기 힘들다.
손님들은 자신이 먹을 쌀을 갖고 와야 한다.
주막에서는 그저 밥 해주고 반찬과 잠자리 정도를 제공할 수 있다.
어떤 사람은 말먹이를 내놓으라고 강짜를 부리기도 하는데 우리 주막에 말먹이는 없다.
또 온돌이라 방은 따뜻한 편이지만 이불은 없으니 본인이 갖고 다녀야 한다.
- 주막은 주로 어디에 차리면 장사가 잘 되나.
△ 사람들이 많이 오가는 나루터나 교통 요지, 광산촌이 좋다.
그렇지만 아직 주막이 많이 부족하니 어디서 열든 장사는 그런 대로 잘 될 것이다.
- 음식값은 돈으로 받나?
△ 돈을 받는 곳도 있지만, 나는 쌀로 받는다.
돈으로 받아서 다시 쌀을 사고, 술을 빚으려면 시간이 많이 걸린다.
종종 쌀이 부족해 돈을 주고도 사기 힘들다.
그러니 쌀을 받는 편이 나로서는 여러모로 편리하다.
조두진기자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우리 아기가 태어났어요]신세계병원 덕담
"하루 32톤 사용"…윤 전 대통령 관저 수돗물 논란, 진실은?
'이재명 선거법' 전원합의체, 이례적 속도에…민주 "걱정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