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과학> 자원빈국 한국, 재생에너지 생색만

국제유가가 오를 때면, 어김없이 등장하는 것이 풍력과 태양광 등 재생 가능한 에너지에 대한 관심이다.

한국정부도 지난해 말 현재 2.06%에 불과한 재생에너지 비율을 오는 2011년까지 5%로 향상시키겠다고 발표했다.

아이슬란드 72.9%, 오스트리아 22.4%, 핀란드 23.0%, 캐나다 15.85%, 덴마크 11.1%, 프랑스 7%, 미국 4.5%에 비해 턱없이 떨어지지만, 뒤늦게나마 국가적 관심을 갖기 시작했다는 평가다.

풍력의 경우, 제주 행원단지 및 서부 한경단지의 성공을 바탕으로 대관령단지와 태백시 매봉산 기슭에 풍차단지를 건설했으며, 포항과 전남 새만금, 경기 시화호에도 건설이 추진되고 있다.

태양광발전은 올해 3kw급 발전기가 300 가구에 설치될 계획이고, 2011년까지 2조원을 투입해 10만 가구에 태양광 발전기를 설치하는 한편, 상업 및 산업용으로도 7만개를 보급한다는 것이 정부의 방침이다.

또 한국수자원공사는 경기 시화방조제에 프랑스 랑스 발전소(24만kw) 보다 더 큰 25만4천kw급 세계 최대의 조력발전소를 2008년 6월에 완공할 예정이다.

그러나 정부의 이 같은 계획이 제대로 추진될 지에 대해서 회의적인 전문가들이 적지 않다.

고유가 시대가 닥치면 호들갑을 떨었다가, 이내 식어 버리는 것이 그동안의 정책이었기 때문이다.

1997년 7만7천대를 공급했던 태양열 온수장치는 1999년에 4천대, 올해는 1천여 대 정도로 시장이 축소됐다.

그동안 국내에 보급된 태양광 발전시설 5천981kw(3kw급 2천여 기)도 절반 정도는 가동이 되지 않고 있다는 설명이다.

지자체에서 지역에너지사업으로 세워 놓았지만, 전문성이 부족하고 사후관리 능력이 못 미치는 탓이다.

풍력발전을 위한 풍차는 대부분 외국제품이어서 고장이 났을 때 수리조차 쉽지가 않다.

석민기자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