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이전 희망기관 도로·토지공사 등 9곳

지방이전을 앞둔 공공기관들의 대구·경북 선호도는 얼마나 될까. 수도권 소재 공공기관을 대상으로 이전 희망지 1~3순위를 묻는 설문에서 대구·경북 지역을 희망한 기관이 3개 부처에서 9개 기관에 이르는 것으로 파악됐다.

건교·산자·정통부가 12일 국회 강재섭(姜在涉)·임인배(林仁培)·김태환(金泰煥) 의원에게 제출한 국감자료에 따르면, 정통부 산하 기관 중 1~3순위 내에 대구·경북 지역 이전을 희망한 기관은 모두 6곳으로 조달사무소, 한국전산원, 한국소프트웨어진흥원, 한국정보보호진흥원, 한국무선국관리사업단, 한국전파진흥협회 등으로 나타났다.

이들 공공기관은 대부분 이전 1순위 지역으로 수도이전 예정지를 꼽고는 있으나 "균형발전 차원에서 가능한 한 충청권 이외 지역으로 공공기관을 이전한다"는 정부 방침이어서 대구·경북 지역이 의외의 결과를 얻을 수 있을 것이란 전망이다.

그러나 서울과 지리적으로 인접한 강원도 춘천과 원주 등을 선호하는 기관이 적지 않아 향후 공공기관 이전을 둘러싼 지자체 간 경쟁에서 강원도가 '복병'이 될 것으로 보인다.

다만 지리적 인접성이 공공기관 이전의 잣대가 될 수 없다는 점에서 오히려 대구·경북이 유리하다는 지적도 적지 않다.

국회 건교위 소속 김태환 의원은 "일부 공공기관이 이전 희망 1, 2순위 지역으로 충청권과 강원도를 꼽고 있지만 충청권과 수도권 인접지를 배제한다는 원칙이 세워질 경우 대구·경북이 의외의 결과를 얻을 수 있을 것"으로 내다봤다.

또 건교부 산하 기관들 중에서 한국도로공사와 한국토지공사, 대한주택공사 등이 3순위 안에 이전 희망지로 대구·경북을 꼽았다.

그러나 산자부 산하 기관 중에는 이전을 희망한 기관이 한 곳도 없어 시도 차원의 대책마련이 시급한 것으로 파악됐다.

국회 건교위 관계자는 "국가 균형발전을 위해 공공기관은 행정수도가 아닌 지역으로 많이 분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의견이 많다"며 "선호도가 높은 지역에 가중치를 두되 지역적 특성을 감안해 결정할 것으로 안다"고 말했다.

김태완기자 kimchi@imaeil.com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