휴전선 인근에 집중 배치된 북한군의 장사정포에대응하기 위해 한국군이 도입 운용중인 대(對)포병레이더인 AN/TPQ-36, 37의 성능이주한미군의 동일기종 무기에 비해 작전능력 면에서 크게 떨어지는 것으로 드러났다.
특히 북한군은 장사정포 공격시 위치노출을 피하기 위해 전파방해공격(ECM)을동시에 수행할 가능성이 높지만 한국군이 보유하고 있는 AN/TPQ-36, 37은 북한군의전파방해에 대비한 능력(ECCM)을 갖추고 있지 않아 '무용지물'로 전락할 가능성도큰 것으로 지적됐다.
국회 국방위 송영선(宋永仙.한나라당) 의원은 13일 "한국군은 AN/TPQ-36, 37을지난 90년부터 도입하면서 비싼 가격 때문에 풀 옵션(full option) 레이더를 구입하지 못하고 기본형만 도입해 북한의 장사정포 공격시 위치확인만 가능한 상태"라고말했다.
송 의원은 또 "북한군은 위치노출을 피하기 위해 전파방해공격을 동시에 수행할개연성이 크지만 국군이 운용하는 AN/TPQ-36,37은 이에 대비한 능력이 없어 작전수행에 큰 지장을 받을 수 있다"고 밝혔다.
반면, 주한 미군이 보유하고 있는 대포병레이다는 풀 옵션에다가 그동안 성능개량을 통해 북한의 장사정포 공격이 있을 경우 포의 위치와 포 및 포탄의 종류까지확인이 가능하며 대(對)전파방해능력(ECCM)도 갖추고 있어 성능차가 큰 것으로 평가됐다.
송 의원이 AN/TPQ-36,37 제작회사인 미국 레이션사의 자료를 인용해 밝힌데 따르면 똑같은 AN/TPQ-37라고 하더라도 한국군 장비는 기억용량(메모리)이 64K로 미군장비의 절반(128K)에 불과하고, 미군장비들이 갖추고 있는 전파방해대응책, 자동측지장치, 전자지도 등을 갖추지 않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현재 한국군은 AN/TPQ-36 11대와 AN/TPQ-37 5대를 운용하고 있으며 AN/TPQ-36과37의 대당 가격은 각각 38억원, 144억원인 것으로 알려졌다.
또 주한미군은 AN/TPQ-36과 37을 6대 운용해 왔으며 지난 6월 미 2사단 일부 병력을 이라크로 파병하면서 1대를 차출한 것으로 전해졌다.(연합뉴스)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대법원, 이재명 '선거법 위반' 사건 전원합의체 회부…노태악 회피신청
포항 찾은 한동훈 "박정희 때처럼 과학개발 100개년 계획 세울 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