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교 집단 급식이 집단 식중독의 최대 발생처가 된지 오래다. 국감 자료에 따르면 학교 급식에 의한 식중독이 여전히 크게 늘어나고 있다. 학생들의 건강에 적신호가 아닐 수 없고 이를 지켜보는 학부모들의 불안감도 커지지 않을 수 없다.
올해는 어느 해 보다 여름 무더위가 심해 식중독지수가 높았던 특수성이 있었다고 하지만 증가추세가 너무 가파르다. 전국적으로 지난 2002년 806명이었던 식중독 환자가 2003년 4천130명으로 크게 늘어났고, 올해는 7월 현재 3천894명이나 발생했다. 이같은 추세는 대구 경북지역도 비슷해서 대구는 지난 2002년 97명에서 지난해 157명, 올 7월 382명으로 급증했고, 경북은 2002년 74명에서 지난해 109명, 올 7월 329명으로 증가했다.
날씨 탓에 식중독 발생 위험이 높았다면 그만큼 더 신경을 써서 관리했어야 마땅하다. 외부적 요인에 의한 식중독 발생을 예방하지 못한다면 아이들이 안심하고 학교 급식을 먹을 수 있겠는가.
특히 대구'경북이 급식 학생당 식중독 발병률에서 전국 3, 4위에 올라 있는 것은 부끄러운 일이다. 이와는 반대로 인천 대전 충남 전남은 식중독 사고가 한 건도 발생하지 않았다. 관리만 잘하면 학교 식중독은 얼마든지 근절할 수 있다는 사실을 보여준 것이다.
최근 정부가 마련한 학교급식법 개정안에서 그동안 없었던 급식 재료의 품질과 위생관리 기준을 명문화하기로 한 것은 다행한 일이다. 재료 선택에서부터 조리'배식 등 전 과정에서 안전을 최우선하는 법을 만들기 바란다. 그러나 법 이전에, 급식 현장 관리자들이 2세들의 건강을 책임진다는 사명감을 갖는 풍토가 먼저 확보되었으면 좋겠다는 바람을 갖는다.
댓글 많은 뉴스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전광훈 "대선 출마하겠다"…서울 도심 곳곳은 '윤 어게인'
이재명, 민주당 충청 경선서 88.15%로 압승…김동연 2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