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수도이전 무산'보상 충청권만 챙기기

"대구·경북 또 소외 우려"

신행정수도 건설 무산에 따른 보상으로 정부의 '충청권 챙기기'가 집중될 조짐이 나타나자 대구·경북의 상대적 차별을 우려하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조해녕(曺海寧) 대구시장과 이의근(李義根) 경북지사를 비롯한 영호남시도지사협력회의(의장 이의근) 소속 광역자치단체장들은 28일 노무현(盧武鉉) 대통령 주재 전국 시도지사 간담회에 앞서 이날 오후 서울 세종문화회관에서 모임을 갖고 헌재의 위헌 판결에도 불구하고 정부의 지방분권 정책기조의 유지와 조속한 실천 필요성에 의견을 같이했다.

영호남 시도지사들은 "국가균형발전정책이 현재 수도권과 충청권 중심으로 논의되고 있고 헌재의 위헌 판결 이후 정부 정책이 충청권에 집중될 경우 영호남이 상대적으로 소외될 수도 있다"며 깊은 우려를 표시했다.

이들은 또 "지금까지 추진해온 공공기관의 지방이전과 혁신도시 건설, 특별지방행정기관의 지방자치단체 이관 등의 정책기조가 흔들린다면 또다시 지역간 과당유치경쟁 등 부작용과 갈등이 우려된다"며 대책마련을 노 대통령에게 건의키로 했다.

한나라당 소속 경북출신 국회의원들도 27일 서울에서 모임을 갖고 신행정수도 이전 무산으로 '충청권 밀어주기 현상'이 일어나 대구·경북이 추진하고 있는 사업이 잇따라 좌초될 위기를 맞고 있다며 조속한 대책 수립에 나서기로 했다.

이날 참석 의원들은 앞을 다퉈 "대구·경북이 추진하고 있는 기업도시, 태권도 공원, 한국전력 유치 등 굵직한 사업이 충청권으로 넘어가거나 무산될 수도 있다"고 우려했다.

기업도시 유치와 관련 이상득·이병석·최경환 의원 등은 "허탈한 충청권 민심을 잡기 위해 정부가 충청권에 집중 유치할 가능성이 있다"며 "정치권과 지자체가 뭉쳐야 한다"고 강조했다.

경주 태권도 공원 유치 사업과 관련, 정종복 의원은 "일각에서는 수도 이전이 무산된 충청권을 배려하기 위해 움직이고 있다는 말이 돌고 있는 실정"이라고 말했다.

경북이 추진하고 있는 공공기관 이전 사업 중 한전 유치에 대해서도 일부 의원은 "충청도가 달라고 하면 우선 순위가 되는 것 아니냐"며 우려했다.

임인배 도당위원장은 "방사성폐기물 처리장 유치 등 특단의 대책을 세우는 등 도지사가 앞장서 제시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한편 노무현(盧武鉉) 대통령은 28일 오후 헌법재판소의 신행정수도건설특별법 위헌 결정에 따른 후속 대책 마련을 위해 전국 16개 시·도 지사를 청와대로 초청, 간담회를 갖는다.

박운석기자 stoneax@imaeil.com 박상전기자mikypark@imaeil.com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