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권이 이해찬 총리의 유감표명을 통해 국회 정상화 사인을 보내고 있지만 한나라당은 냉담한 반응이다.
이 총리가 야당을 국정 파트너로 인정하지 않는다는 속내를 분명히 드러낸 만큼 유감 표명 정도로 사태를 수습할 수 있는 단계는 지났다는 것이 한나라당의 입장이다.
이 총리의 퇴진이나 파면 이외에는 길이 없다는 것이다.
박근혜(朴槿惠) 대표는 1일 국회 출입기자들과 만난 자리에서 이 총리의 거취문제가 국회 정상화의 선결조건임을 분명히 했다.
박 대표는 "국회 파행을 막으려고 총리에게 사과 기회를 두 번이나 줬는데도 사과가 없었다"며 "이제는 대통령의 조치를 보고 판단하겠다"고 강조했다.
파면 요구를 내놓은 만큼 노무현 대통령이 어떤 행보를 취하느냐가 관건이라는 것이다.
박 대표는 또 이 총리의 발언이 문제가 있기는 하지만 국회를 5일째 파행으로 몰고가는 것도 문제가 있다는 지적에 대해서는 "국민의 대표로서 정부에 대해 질문과 견제를 해야 하는데 정부가 국회 알기를 우습게 아니 이것은 짚고 넘어갈 수밖에 없다"며 등원거부의 불가피성을 설명했다.
이 같은 강경 기류는 2일 오전에 열린 주요 당직자회의에서도 그대로 이어졌다.
남경필(南景弼) 원내수석부대표는 "열린우리당이 이 총리의 유감 표명 의사와 함께 만나자는 전화를 해왔는데 총리가 진정으로 사과하고 국민 앞에 빈다면 여권과 대화할 수 있지만 애매하게 자기입장을 설명하는 식으로 그친다면 만날 필요가 없다"면서 "이미 사과문제는 떠나간 것 같다"고 말했다.
임태희(任太熙) 대변인도 이날 논평에서 "이 총리가 헌법과 국민과 의회를 무시한 것은 '동시 사과'나 단순한 '양보'로 해결될 수 없는 근본의 문제"라며 "이 총리의 파면이나 퇴진으로 국정쇄신의 계기를 마련하는 것만이 지금의 난국을 풀고 정국을 정상화할 수 있는 유일한 해법"이라고 주장했다.
그러나 이 같은 강경기류에도 불구하고 조속히 국회를 정상화해야 하지 않느냐는 소리도 점차 높아지고 있다.
국회 파행의 원인을 정부와 여당이 제공했지만 한나라당도 등원을 거부하는 것은 문제라는 양비론이 커지고 있어 여권 못지않게 야당도 부담을 안을 수밖에 없다는 것이다.
이 같은 측면들을 종합하면 이 총리가 어떤 수준으로 유감을 표명하느냐에 따라 한나라당의 등원 여부도 결정될 것이란 전망이 가능하다.
이미 사과의 단계가 지났다는 강경발언에 비춰 이 총리의 사과를 통한 등원이 썩 내키지는 않지만 그렇다고 계속해서 국회를 파행으로 가져갈 수는 없는 처지이기 때문이다.
정경훈기자 jgh0316@imaeil.com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우리 아기가 태어났어요]신세계병원 덕담
"하루 32톤 사용"…윤 전 대통령 관저 수돗물 논란, 진실은?
'이재명 선거법' 전원합의체, 이례적 속도에…민주 "걱정된다"
연휴는 짧고 실망은 길다…5월 2일 임시공휴일 제외 결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