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종과 세종 이후 한 동안 뜸해졌던 왜구의 침탈이 다시 활개를 치고 왜구의 배도 규모와 성능 면에서 크게 개선되자, 조선은 명종 10년(1555년) 1층 갑판구조였던 종래의 군선을 획기적으로 개선한 새로운 군함을 제조했다.
이것이 판옥선이다.
판옥선은 바닥이 평평한 선체 위에 그보다 폭이 넓은 갑판을 2층 구조로 제조함에 따라 노를 젓는 공간과 전투 공간이 분리되어 있는 독특하고 탁월한 구조를 갖추고 있다.
중국과 일본의 군선에서는 전혀 찾아볼 수 없는 창의성의 산물이다.
2층 구조로 넓은 전투공간을 확보한 판옥선은 고려 말 최무선 이후 개발된 각종 최첨단 대포와 화약무기로 무장할 수 있었다.
이 당시 조선은 화약 무기의 측면에서는 첨단 기술과 무기를 확보한 선진국이었다.
조선은 이미 임진왜란 발발 40년 전부터 가공할 화력의 대포로 무장한 판옥선을 보유한 수군(=해군) 강국이었던 셈이다.
판옥선은 또 1층 갑판 선체 바깥으로 나온 부분에 한국식 노를 좌우에 각각 10개 정도씩 배치했다.
넓은 전용공간에서 노를 젓기 때문에 노 하나에 5, 6명씩 매달려 모두 100~120명의 노군이 적의 공격에 신경 쓰지 않고 힘차게 노를 저을 수 있었다.
2층 전투공간에는 지휘부가 위치하는 '장대'를 쌓아 올렸다.
2층 갑판 위에 위치한 넓은 전투공간은 그 당시 통상 1층 구조였던 왜선에 비해 훨씬 높은 위치에 서게 된다.
높은 위치에서 활과 화포를 쏘아댈 수 있는 판옥선의 공격력은 그만큼 더 막강해질 수밖에 없었다
거북선은 바로 이 판옥선의 윗부분을 덮개로 덮어 개량한 것이다.
학술적 논란은 과연 판옥선을 어떻게 개량해 덮개를 덮었느냐에 집중되어 있다.
석민기자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대법원, 이재명 '선거법 위반' 사건 전원합의체 회부…노태악 회피신청
국정원, 中 업체 매일신문 등 국내 언론사 도용 가짜 사이트 포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