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회 파행사태가 좀처럼 해결될 기미를 보이지 않고 있다.
8일 김원기(金元基) 국회의장의 주선으로 여야 원내대표가 만나 국회 정상화방안을 논의했으나 상대방의 입장만 확인한 채 정상화를 위한 구체적인 합의도출에는 실패했다.
이날 접촉에서 여야 원내대표는 국회정상화의 핵심 쟁점인 이해찬 국무총리의 유감 표명(사과)을 종용한다는 김 의장의 제안에 동의한다는 뜻을 밝혔으나 사과의 수위나 내용에 대해 한나라당이 여전히 '의심'을 거두지 않고 있어 국회정상화까지는 앞으로도 상당한 진통이 예상된다.
게다가 이 총리가 김 의장의 제안에 대해 "(유감 표명의) 시기와 장소 등 입장 표명의 방식에 대해선 국회에서의 여야 간 논의를 지켜보면서 판단하겠다"며 사과인지 입장표명인지 모호하게 말한 것도 한나라당을 자극, 상황을 더욱 어렵게 하고 있다.
전여옥 대변인은 "이 총리의 파면과 사과 수위를 보고 방향을 결정한다는 방침에는 변함이 없다.
아무 것도 합의된 것이 없다"고 맞받았고 김덕룡 원내대표도 "사과한다고 등원하는 것은 한나라당의 입장이 아니다"며 한발 더 나아갔다
이 같은 분위기는 9일에도 그대로 이어졌다.
김 원내대표는 "막말로 국회를 모독한 총리에게 대통령이 오늘 국무회의를 주재토록 했다.
이는 국회와 국민에 대한 모독이자 오기 정치의 전형"이라며 노무현 대통령과 이 총리를 싸잡아 비난했다.
김형오 사무총장도 "대통령과 여권은 국회를 파탄시킨 이 총리의 해임요구를 묵살해서는 안되며, 이 총리 스스로도 자신의 거취를 책임지는 모습을 보이라"며 이 총리를 압박했다.
한나라당이 이처럼 강경한 태도를 견지하고 있는 것은 여론이 여당에 비해 야당 쪽에 상대적으로 유리하게 흐르고 있을 뿐만 아니라 지금 유감 표명 정도로 슬그머니 등원했다가는 4대 법안을 포함해 앞으로 여권과 일전을 겨뤄야 할 현안들이 산적한 상황에서 전투력의 약화를 가져올 것이 뻔하다는 판단 때문이다.
그래서 한나라당은 비교적 느긋한 편이다.
반면 열린우리당은 몸이 달아있다.
여야 원내대표 회동 직후 박영선 원내부대표는 "김 의장이 중재에 나선 만큼 결과를 지켜보는 것이 옳다"면서 당분간 단독 국회진행을 하지 않겠다는 뜻을 밝혔으나 내부적으로는 단독으로라도 국회를 열어야 한다는 의견들이 무성하다.
야당에 끌려다니는 모습을 보여서는 개혁법안 처리 등에서 밀릴 수밖에 없다는 것이다.
"10일까지 국회 정상화가 합의되지 않으면 4대 입법과 예산안 처리 등 국회일정의 차질이 예상되기 때문에 10일을 넘길 수 없다"며 한나라당을 압박하고 나선 것도 열린우리당의 초조감을 잘 반영한다.
그러나 한나라당은 "10일까지 등원하지 않을 것이며, '민생파탄 규탄대회'를 예정대로 열겠다"는 입장을 고수하고 있어 국회정상화 전망은 여전히 불투명한 상황이다.
정경훈기자 jgh0316@imaeil.com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대법원, 이재명 '선거법 위반' 사건 전원합의체 회부…노태악 회피신청
한덕수 "24일 오후 9시, 한미 2+2 통상협의…초당적 협의 부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