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거 5년간 포스코와 한국전력의 1인당 급여 증가율이 증권거래소에 상장된 시가총액 상위사(금융사 제외) 가운데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 우리나라의 대표 기업인 삼성전자와 현대차의 연간 전체 급여는 작년에 각각 2조7천억원과 2조4천억원에 달했으며, 1인당 급여는 SK, SK텔레콤, S-Oil, KT&G 등이 삼성전자에 비해 많았다.
11일 국내 대표적 상장기업 10개(금융사 제외)의 2003회계연도 결산자료에 따르면 삼성전자는 작년에 2조7천286억원을 임직원 급여로 지출해 5년 전인 1999년의 1조2천478억원에 비해 118.6%가 불어났다.
또 현대차는 작년 전체 급여총액이 2조4천192억원으로 5년 전의 1조3천139억원에 비해 84.1% 늘었으며, KT는 1조8천203억원으로 1999년의 1조8천551억원에 비해 약간 줄었다.
포스코의 급여지출은 1조3억원으로 5년 전의 4천811억원에 비해 107.9%가 증가했고 한국전력의 인건비는 같은 기간 6천935억원에서 7천667억원으로 10.5% 늘었다.
삼성전자의 경우 직원수 자체의 증가와 임금 상승으로 급여지출액이 증가했으며 현대차·포스코·한국전력 등은 인력이 거의 늘지 않거나 크게 감소했음에도 임금 증가율이 높아 급여 절대액이 컸다.
이 기간 삼성전자의 직원수는 3만9천350명에서 5만5천379명으로 40.7% 늘었으나 현대차는 5만984명에서 5만1천471명, 포스코는 1만9천485명에서 1만9천373명으로 거의 변화가 없었다.
KT는 4만7천532명에서 3만7천652명으로 20.7%, 한국전력은 3만227명에서 1만7천115명으로 43.3%가 각각 감소했다.
5년간 1인당 급여 증가율은 포스코가 109.1%로 가장 높았고, 한국전력 95.2%, 현대차 82.3%, S-Oil 57.8%, 삼성전자 55.3%, KT&G 50.7% 등의 순이었다.
작년말 기준 직원 1인당 연간 평균 급여액은 SK가 5천844만원으로 가장 많았고, SK텔레콤(5천603만원), S-Oil(5천589만원), KT&G(5천341만원), 포스코(5천164원) 등도 삼성전자(4천927만원)보다 높았다.
(연합)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대법원, 이재명 '선거법 위반' 사건 전원합의체 회부…노태악 회피신청
국정원, 中 업체 매일신문 등 국내 언론사 도용 가짜 사이트 포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