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시-주민 '삐걱'…제2의 '쓰레기대란' 우려

대구시와 방천리 위생매립장 인근 주민들 간 의사소통이 제대로 되지 않아 다음달쯤 제2의 쓰레기 대란 사태가 벌어질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다.

대구시는 이달 말까지 매립장 확장 및 사용기한 연장 전면 무효화 여부를 서재리 비상대책위원회 측에 알려주기로 합의하고, 현재 대책위 측과 접촉을 벌이고 있으나 좀처럼 합의를 이루지 못하는 상황이다.

대구시 관계자는 "2년 뒤면 현재 매립장 수용량이 포화상태에 이르며, 대체부지 마련도 쉽지 않아 매립장 인근 주민을 설득하는 수밖에 없다"며 "하지만 주민들이 대화에 잘 응하지 않고 있다"고 말했다.

이런 가운데 대구환경운동연합은 대구시의회 의정동우회와 함께 10일 시의회에서 '위생매립장 사태에 따른 대구시 쓰레기 정책의 실태와 개선방향'을 주제로 토론회를 가졌다.

주제발표를 한 이종진 대구시 환경녹지국장은 "이번 위생매립장 사태를 통해 쓰레기 감량 및 재활용에 대한 중요성이 부각됐다"며 "쓰레기 발생 억제 및 감량을 시의 주요사업으로 추진하는 한편 배출쓰레기 매립 및 소각 처리를 원활하게 하기 위해 친환경적 처리시설 확보에 나서겠다"고 설명했다.

이 국장은 또 99년 이후에는 쓰레기 발생량이 거의 줄지 않았다는 지적에 대해 "시민 1인당 쓰레기량은 비록 미미하지만 계속 줄고 있다"며 "분리수거 정착 등 시민의식 변환이 절실하다"고 했다.

그러나 다른 토론 참석자들은 "시의 쓰레기 정책의 전면적인 변화가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전관수 영남대 건설환경공학부 교수는 "매립장이라는 환경오염시설을 설치하면 인근 주민들에 대해 상응하는 혜택마련이 필요하다"고 지적했고, 김충환 시의원은 "쓰레기 문제는 지방자치단체만으로는 강제집행이 어렵기 때문에 정부가 제도적 장치를 빨리 마련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문현구기자 brando@imaeil.com

사진:10일 오후 시의회 회의실에서 대구지역 쓰레기 문제해결을 위한 시민단체, 행정기관 간 정책토론회가 열렸다. 정운철기자 woon@imaeil.com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