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아라파트 팔레스타인 수반 생애 주요 연보

▲ 1929년 8월 4일= 이집트 카이로에서 팔레스타인 상인 압델 라우프 알-쿠드와 알-후세이니의 5남으로 출생.

▲1933년= 어머니 자와 사망 후 사촌과 살기 위해 동생 파디와 함께 이스라엘 예루살렘으로 보내짐.

▲1949년= 카이로로 복귀해 팔레스타인 학생연맹 결성.

▲1956년 8월= 체코슬로바키아 프라하에서 열린 국제 학생회의 참석, 팔레스타인 회원권 확보. 자신의 트레이드 마크가 된 팔레스타인 머릿수건(케피예) 첫 착용.

▲1965년 1월 1일= 파타 게릴라 단체 결성. 이틀 후 갈릴리 운하 폭파 위한 이스라엘에 대한 첫 공격 감행했으나 실패.

▲1968년 4월 21일= 이스라엘군의 요르단 카라메흐 소재 팔레스타인해방기구(PLO) 기지 공격으로 대규모 피해를 입었으나, 팔레스타인인들의 대규모 PLO 합류로 정치적 승리 거둠.

▲1969년 2월 4일= PLO 의장 등극으로 팔레스타인을 세계에 알리는 계기 마련.

▲1974년 11월 13일= 유엔 총회서 연설.

▲1982년 6월 6일= 레바논 소재 PLO 기지에 대한 이스라엘 침공으로 추종자들과 함께 베이루트로 피신.

▲1985년 10월 1일= 튀니지 튀니스 소재 PLO 본부에 대한 이스라엘군 공격으로 사망 위기 겨우 모면.

▲1988년 4월 16일= 아라파트의 군사 총책 칼릴 알-와지르(일명 아부 지하드) 튀니스서 피살.

▲1988년 12월 12일= 이스라엘과 공존 원칙 수용. 테러 반대 천명.

▲1990년 8월 2일= 이라크의 쿠웨이트 침공시 사담 후세인 지지 선언으로 팔레스타인 고립 자초.

▲1991년 11월= 여비서 수하 알타위(28)와 튀니스서 비밀 결혼. 1995년 7월 24일 파리서 딸 자와 얻음.

▲1992년 4월 7일= 리비아 사막서 비행기 추락 사고로 중상. 조종사 2명과 기술자 등 사망.

▲1993년 9월 13일= 노르웨이 오슬로에서 이스라엘과 팔레스타인 자치협정 조인. 가자지구 대부분과 요르단강 서안지구 27%에 대한 통제권 확보. 이츠하크 라빈 이스라엘 총리와 미국 백악관에서 정상회담.

▲1994년 7월 1일= 망명 생활 26년만에 처음으로 팔레스타인 영토로 화려한 복귀.

▲1994년 12월 10일= 이스라엘의 라빈 총리, 시몬 페레스 외무장관 등과 함께 노벨 평화상 공동 수상.

▲1995년 11월 4일= 라빈 이스라엘 총리, 텔아비브서 극우파 유대인 청년에 의해 암살.

▲1995년 11월 9일= 라빈 총리 부인 위로차 첫 이스라엘 비밀 방문.

▲1996년 1월 20일= 팔레스타인 첫 선거서 자치정부 수반 선출.

▲1997년 1월 15일= 베냐민 네타냐후 이스라엘 총리와 요르단강 서안지구 80%에서의 이스라엘군 철군 협정 조인.

▲1998년 10월 23일= 미 메릴랜드주(州) 와이 강에서 요르단강 서안지구 평화방안 합의.

▲2000년 7월 11일= 빌 클린턴 미국 대통령 주재로 에후드 바라크 이스라엘 총리와 캠프 데이비드 대통령 별장에서 9일간 평화방안 논의. 합의 도출에는 실패.

▲2000년 9월 28일= 이스라엘 야당 지도자이던 아리엘 샤론의 예루살렘 소재 유대교-이슬람교 공동 성지 방문으로 팔레스타인 2차 봉기 촉발.

▲2001년 12월 3일= 팔레스타인측 3차례 폭탄 테러 직후 이스라엘군이 아라파트 헬기 3대 파괴. 아라파트 요르단강 서안지구 라말라에 사실상 구금.

▲2002년 1월 18일= 이스라엘 탱크 2대와 장갑차 등 아라파트의 라말라 본부 앞 배치. 3차례의 이스라엘군 공격으로 아라파트 집무실 제외한 팔레스타인 자치정부건물 대부분 파괴.

▲2002년 3월 27일= 29명의 사망자를 낸 팔레스타인 자살 폭탄 공격으로 이스라엘군의 요르단강 서안지구 침공 야기.

▲2002년 3월 29일= 이스라엘 내각, 아라파트를 '적'으로 규정. 아라파트 집무실을 포함한 라말라 팔레스타인 본부에 대한 이스라엘군 포위 강화.

▲2002년 4월 2일= 팔레스타인 영토에서 영원히 망명하라는 아리엘 샤론 이스라엘 총리의 요구에 맞서 요르단강 서안지구를 떠나느니 차라리 죽겠다고 선언.

▲2002년 6월 24일= 조지 부시 미국 대통령, 이스라엘과 더불어 아라파트 수반하야 촉구.

▲2003년 4월 29일= 팔레스타인 의회, 아라파트 측근인 마흐무드 압바스를 초대 총리로 지명. 아라파트를 밀어내려는 미국과 이스라엘 압력에 굴복한 것으로 풀이됨.

▲2003년 6월 4일= 부시-샤론, 아라파트 배제한 채 2005년 까지 팔레스타인 독립국 창설을 골자로 하는 '중동 평화 로드맵' 추진.

▲2003년 9월 6일= 아라파트와 권력 투쟁으로 권한 약화된 압바스 총리 사임, 아흐메드 쿠라이 당시 의회 의장이 총리직 승계.

▲2003년 10월 21일= 의료진, 아라파트 담석증 진단.

▲2004년 10월 27일= 팔레스타인측, 아라파트 '위독' 상태 확인.

▲2004년 10월 29일= 3년 가까이 연금상태에 놓였던 요르단강 서안 라말라에서 요르단을 거쳐 프랑스 페르시 군병원으로 이송.

▲2004년 11월 11일= 아라파트 사망 공식 발표.

(연합뉴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