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한나라, '이 총리 무시작전'…파행 아닌 파행

이해찬(李海瓚) 총리의 사과로 국회가 정상화됐으나 11일부터 재개된 대정부 질문은 질문과 답변이 없는 일방적 훈계나 질타만으로 진행돼 또다른 파행의 양상을 보이고 있다.

이날 통일·외교·안보분야 대정부 질문에 나선 한나라당 김문수(金文洙), 이방호(李方鎬) 의원 등은 이 총리가 정치적으로 사망한 것으로 간주한다는 당 방침에 따라 단 한번도 이 총리를 불러내 질문하지 않고 질타만 계속했다. 대정부 질문은 김이 빠질 수밖에 없었다.

김 의원은 이날 오전에만 해도 "이 총리를 상대로 따질 것은 따져야 겠다"며 이 총리에게 질문을 한다는 방침이었으나 당내 비판이 비등하자 계획을 바꿨다. 김 의원은 이 총리를 단 한번도 답변석으로 불러내지 않은 채 "시중에 '사의 대독 총리'라는 말이 돌고 있는데 국민에게 하는 사과를 대독시킬 만큼 높아졌느냐"고 따졌다.

이 의원도 "정치적으로 (총리로) 인정하지 않기 때문에 질문을 하지 않는 것을 양해바란다"며 말문을 연 뒤 "집권세력의 이익을 대변하기 위해 온몸을 바쳐 투쟁하는 행동대장"이라며 10여분 동안 이 총리를 집중 공격했다.

뒤이어 발언에 나선 박성범(朴成範), 박진(朴振), 유기준(兪奇濬) 의원 등도 이 총리에게는 거의 질문을 하지 않으며 무시전략으로 일관했다. 대정부 질문이 이처럼 맥빠진 양상으로 진행되자 한나라당 내에서조차 이 총리에 대한 '정치적 사망선고' 방침이 과연 어떤 효과가 있는지 의심스럽다는 비판이 제기되고 있다. 이 총리의 사과를 받아들였으면 깨끗하게 국회를 정상적으로 운영하는, 큰 모습을 보이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지적이다.

실제로 이 총리는 질타와 훈계를 앉아서 고스란히 들었으나 서류철을 뒤적이거나 알듯 모를 듯한 미소를 띠면서 의원들을 빤히 쳐다보는 등 개의치 않는다는 모습이었다.

이에 따라 이 총리에게 당당하게 질의하고 따질 것은 따져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으나 또다시 막말을 듣게 될 경우 다시 국회에서 뛰쳐나올 수도 없는 형편이어서 한나라당의 고민은 깊어지고 있다.

정경훈기자jgh0316@imaeil.com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