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야가 4자회담을 두고 '핑퐁게임'을 하고 있다.
주거니 받거니 '네 탓'만 하면서 샅바싸움에 몰두하고 있는 것.
"양당대표와 원내대표가 만나자"는 제안은 열린우리당 이부영(李富榮) 의장이 지난 15일 먼저 했다.
그러나 한나라당은 "원내대표와 정책위의장간 회담은 고려해 볼 수 있다"며 역(逆) 제의를 했고, 뒤이어 "그것이라도 하자"는 우리당쪽 입장이 흘러 나왔다.
그러나 이후 논의는 중단된 상태다.
또 "전면전을 앞둔 여야 대표가 만나봐야 무슨 득이 되겠냐"는 냉소적인 시각이 적지 않다.
"어차피 실현 가능성이 없는 제안이었다"는 말도 나온다.
하지만 "만나야 실마리를 풀지 않겠냐"는 기대도 있다.
그래서 여야 모두 4자회담의 끈을 놓지 않고 있다.
열린우리당 김현미(金賢美) 대변인은 17일 "지난 7월 신기남(辛基南) 의장 시절, 여야 대표회담을 제의했고 지난 8월 이부영 의장이, 10월에는 천정배(千正培) 원내대표가 4당 대표 원탁회의를 제의했지만 그때마다 한나라당은 역제안이다, 뭐다 하며 거부했다"고 불만을 터뜨렸다.
김 대변인은 또 "박근혜(朴槿惠) 대표가 회담 자체에 두려움이 있는지, 대화와 협상에 대한 공포가 있는지 묻고 싶다"면서도 "그러나 의회정치는 의회 내에서 대화와 타협을 통해 문제를 풀어가는 것"이라며 여지는 남겨뒀다.
반면 한나라당 임태희(任太熙) 대변인은 "언론 앞에서 말로는 대화하자면서 정작 공식 라인을 통해 제안한 것은 하나도 없다"고 발끈했다.
또 "여야 원내 부대표끼리라도 비공식 협의를 해오면 마다할 이유가 뭐있냐"고 반문했다.
김덕룡(金德龍) 원내대표도 "열린우리당이 국가보안법 폐지를 일단 보류하고 다른 법안으로 얘기하겠다면 충분히 협상할 용의가 있다"고 말해 국보법을 제외한 나머지 3개 법안의 협상 여지를 열어놨다
정치권은 어떤 식으로든 4자회담이 열릴 것으로 보고 있다.
오히려 몸이 단 쪽은 여당이라는 말도 나온다.
여권의 한 관계자는 "이번 주말을 지나면서 접촉이 있지 않겠느냐. 4대 법안에 대한 본격적인 절충이 이뤄질 것"이라며 기대섞인 전망을 내놓았다.
김태완기자 kimchi@imaeil.com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대법원, 이재명 '선거법 위반' 사건 전원합의체 회부…노태악 회피신청
한덕수·이준석 이어 전광훈까지…쪼개지는 보수 "일대일 구도 만들어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