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수능부정 대물림" 진술, 수사확대

수능시험 휴대전화 부정행위 사건을 수사 중인 광주 동부경찰서는 22일 부정행위 가담학생들에 대한 조사결과, 이번과 같은 수능부정 행위가 학교 선배들로부터 '대(代)물림'된 정황을 확보,수사를 확대하고 있다.

일부 학생들은 경찰조사에서 후배 고교생들이 정답을 전송하는 도우미 역할을 맡고, 이들이 수험생이 되면 고사장에서 정답을 주고 받는 '선수'가 됐으며 졸업을 한 뒤에는 도우미들을 관리했다고 진술한 것으로 알려졌다.

경찰은 이에 따라 수능부정 행위가 몇년전부터 계속돼온 것으로 보고 수사를 벌이고 있다.

경찰은 조사결과, 이번 사건에 연루된 광주광역시 소재 학생은 6개 고교 141명이며 이번 범행을 위해 학생들이 쓴 비용은 모두 2천85만원이라고 밝혔다.

경찰은 이들을 '주범' 22명, 일명 '선수' 39명, 중계 37명, 부정응시 42명, 대학생 1명 등으로 분류, 정확한 가담인원과 브로커 개입여부, 학부모들의 사전인지 여부, 학교관계자들의 묵인 등이 있었는지를 캐고 있다.

경찰 수사결과 이번 사건은 광주 S고 배모(19)군이 중학교 동창인 C고 김모(19) 군에게 범행을 제의하면서 시작됐고, 이는 다시 6개 고교 학생 22명으로 늘었으며 이들은 다시 각 학교 후배들에게 '도우미'로 범행에 동참할 것을 제의한 것으로 드러났다.

경찰은 이들 가운데 임의동행이나 자진출석을 통해 78명에 대한 조사를 마쳤으며 나머지 63명에 대해서는 조만간 조사를 벌일 방침이다.

이에 앞서 경찰은 광주 S고 3학년 L(19)군 등 6명에 대해 위계에 의한 공무집행방해 혐의로 구속영장을 신청했으며 광주 C고 Y(19)군 등 주범 6명을 같은 혐의로 긴급체포했다.

경찰은 긴급체포된 6명 등 부정행위에 깊숙이 관여한 학생 22명에 대한 조사를 대부분 마쳤으며 이미 신청된 구속영장도 대부분 발부될 것으로 보여 이번 사건과 관련된 구속자는 계속 늘어날 전망이다.

(연합)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