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겨울철새 매년 100만마리 한국 찾는다'

환경연구원 조류 센서스…올해 198종 111만마리

지난 6년간 겨울에 우리나라를 찾은 철새는 매년190종, 100만 마리에 이르는 것으로 조사됐다.

국립환경연구원은 99∼2004년 6년간 겨울철 조류 동시 센서스 결과 모두 262종, 601만8천531마리의 철새와 텃새가 관찰됐다고 21일 밝혔다.

이는 매년 1월말 철새 전문가들이 전국 주요 호소, 해안, 만, 평야 등 주요 겨울철새 도래지 118곳에서 동시에 육안으로 관찰한 결과여서 참새·까치·꿩·까마귀 등 일부 텃새도 포함된 만큼 정확하게는 '겨울 철새'가 아니라 '겨울철에 주요 지점에서 관찰된 새'의 숫자다.

하지만 연구 담당자인 환경연구원 김창회 박사는 "이중 텃새는 5% 미만이고 대부분 겨울철새라고 볼 수 있다"고 말했다.

겨울철 새의 숫자는 99년 172종, 91만9천319마리에서 2000년 198종 114만6천177 마리로 늘어난 뒤로는 계속 줄었지만 최근 회복세로 돌아서 올해는 198종 111만1천831마리가 관찰됐다.

99∼2001년에는 매년 26만∼41만 마리씩 날아온 청둥오리가 가장 많았지만 2002년 이후로는 가창오리(매년 28만∼45만 마리)가 가장 많이 날아왔다.

반면 굴뚝새는 올들어 한마리밖에 관찰되지 않았고, 검독수리·흰기러기·물때까치도 많아야 4∼6마리, 적을 때는 한 마리만 관찰됐다.

6년간 꾸준히 우리나라를 찾아온 철새는 가창오리, 청둥오리, 큰기러기 등 134 종이었고 시베리아 흰두루미나 회색기러기처럼 6년간 한차례, 1, 2마리만 관찰된 새도 수십 종에 이르렀다.

가장 많은 종의 겨울철새가 찾는 곳은 충남 서산 간월호로 멸종위기 1급 철새 3 ∼5종을 비롯, 매년 평균 63종이 날아들었다.

99년 2천545마리가 관찰됐던 겨울 진객(珍客) '개리'(천연기념물 325호)는 지난해와 올 1월 각각 3마리와 36마리만 관찰됐고, 고니도 99년 792마리에서 올 1월 56 마리로 급감했다.

반면 독수리·멧비둘기·붉은머리오목눈이·물닭 등 4종은 개체 수가 조금씩이나마 꾸준히 늘고 있었다.

겨울철새 중에는 두루미, 흰꼬리수리 등 멸종위기 1급 철새 10종과 가창오리, 큰기러기 등 2급 철새 35종이 포함됐고 멸종위기 철새의 최대 도래지는 두루미류 337∼588마리가 찾은 철원평야와 금강호였다.

(연합)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