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수능 不正 수사, 미래지향적으로

광주에서 터진 '수능 부정'사건의 진상이 속속 드러나면서 경찰이 전국적으로 이뤄졌을 개연성이 높다고 판단, 대구'경북경찰청도 본격 수사에 들어가는 등 수사 결과에 귀추가 주목되고 있다.

'수능 부정'은 비록 이번에 그 실체가 확인됐지만 수년 전부터 루머 형태로 퍼져 왔었다. 문제는 이런 루머를 일선 시'도 교육청이나 교육부도 몰랐을 리 없었을 텐데 왜 그냥 지나쳤느냐 하는 점에 있다.

교육부가 서둘러 철저한 대책을 세웠더라면 이런 엄청난 부정은 사전에 충분히 막을 수 있었다는 점에서 비난을 받아 마땅하다. 더욱이 이번 수능시험 막바지에 대책 회의까지 가졌지만 정작 뚜렷한 대책을 못 내놓고 어물쩍 넘겼다니 기가 찰 노릇이다.

게다가 그동안 일부 시험 감독관들마저 철저하게 커닝 적발에 대응치 못해 왔던 '현실'도 결과적으로 '수능 부정'을 부른 간접 원인이 돼 버렸다.

따라서 경찰은 우선 광주의 '부정 실체'를 토대로 철저한 수사를 벌여 임해 그 진상을 반드시 밝혀내야 한다. 이 '수능 부정'사건은 이해 당사자들이 워낙 많은 데다 '교육 과열'까지 감안할 때 그 후유증은 교육부가 감당 못할 정도의 '폭발력'을 안고 있다. 이 때문에 자칫 '축소 수사'로 덮으려다 오히려 더 큰 화근이 된다는 점을 경찰은 특히 유념해야 한다.

그렇다고 해서 극심한 혼란이 지속되면서 '재시험'항의까지 유발되는 등의 부작용도 바람직하지 못하다. 그건 오히려 '교육 정상화'의 위해(危害) 요인이 될 뿐이라는 점도 간과할 수 없는 게 '현실'이다.

경찰은 면밀한 수사 결과를 교육부에 넘겨 부정 방지 대책이나 수능 지침을 철저히 보완할 수 있도록 '미래 시각'에 수사 초점을 맞추는 게 옳다고 본다.

경찰의 사려 깊은 수사 결과를 지켜 보겠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