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보안법 폐지를 둘러싼 여야의 공방이 계속되는 가운데 8일 열린우리당 이철우(李哲禹) 의원이 간첩이었다는 주장이 나와 논란이 확산되고 있다.
열린우리당은 국회 본회의에서 한나라당 주성영(朱盛英) 의원 등이 이 의원의 간첩혐의를 거론한데 대해 9일 비상대책위를 구성, 해당의원들의 의원직 제명을 추진키로 하고 오전에는 국회 본청 앞에서 한나라당 규탄대회를 열었다.
이에 한나라당은 진상대책위원회를 만들어 이 의원 간첩혐의에 대한 당차원의 조사에 나서겠다고 맞섰다.
논란의 발단은 8일 한나라당 주 의원의 국회 본회의 신상발언. 주 의원은 "이철우 의원이 1992년 노동당원으로 현지 입당하고 당원부호 '대둔산 820호'를 부여받아 지금까지 암약해온 사실이 드러났다"며 "보안법 폐지안을 발의한 161명의 의원 중 이 의원이 포함돼 있다"고 주장했다.
이어 같은 당 박승환(朴勝煥) 의원도 "언론 보도를 통해 이철우 의원이 간첩이었다는 놀라운 사실을 알게됐다"면서 "보안법 폐지를 주장하는 이유가 드디어 밝혀졌다"고 말했다.
이에 대해 이 의원은 본회의 5분발언과 열린우리당 의원총회 신상발언 등을 통해 "(자신이 간첩이라는 주장은)사실무근"이라며 "(1992년) 당시 신문지상에는 남한 조선노동당 중부지역당으로 기소됐다고 나왔고 그랬던 것이 사실인데, (재판과정에서) 그런 혐의사실이 다 없어지고 '민족해방애국전선'이라는 단순 반국가단체에 가입했다는 게 전부"라고 반박했다.
당시 이 의원의 변호를 맡았던 유선호(柳宣浩) 의원은 "이 사건은 92년에 '중부지역당' 사건으로 발표가 됐고, 중부지역당은 북한과 연계됐다는 것은 분명하다"며 "그러나 이 의원이 관여한 단체는 중부지역당과 관계없는 단체이고, 재판과정을 통해서도 근거없는 것으로 최종 확정판결났다"고 말했다.
열린우리당은 또 '한나라당의 국회 간첩조작 비상대책위'를 구성, 이 의원 간첩활동을 주장한 주·박 의원과 김기현(金起炫) 의원에 대한 민·형사상 고소를 추진하고 국회 윤리위 제소를 통해 의원직 제명도 추진키로 했다.
또 한나라당 박근혜 대표에게는 세 의원의 출당을 요구했다.
이부영(李富榮) 당의장은 "70,80년대 냉전분단시대로 되돌려 놓았다"고 한나라당을 힐난했고, 천정배 원내대표도 "모든 수단을 동원해 세 의원을 반드시 제명시키겠다"고 으름장을 놓았다.
그러나 한나라당 김덕룡(金德龍) 원내대표는 "이 문제는 국회의 정체성과 관련된 중요한 문제"라면서 "열린우리당은 이철우 의원의 공천배경과 과정을 낱낱이 밝히고 국민 앞에 사죄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상곤기자 leesk@imaeil.com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대법원, 이재명 '선거법 위반' 사건 전원합의체 회부…노태악 회피신청
국정원, 中 업체 매일신문 등 국내 언론사 도용 가짜 사이트 포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