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軍 장병 능력계발 돕는다

民·官·軍 인적자원개발 추진기획단 구성키로

안병영 부총리 겸 교육인적자원부 장관과 윤광웅 국방부 장관 등은 22일 오전 서울 웨스틴조선호텔에서 군(軍) 인적자원 개발을 위한 민·관·군 협약식을 갖고 '군 인적자원개발 추진기획단' 구성 등을 주요 내용으로 하는 협약서에 서명했다.

교육부와 국방부 등 관계부처는 군 복무 중 다양한 능력개발 결과를 대학과 기업이 인정하도록 유도하기로 합의했다.

협약식에는 박유철 국가보훈처장과 배종신 문화관광부 차관, 박영식 한국대학교육협의회장, 정종택 한국전문대학교육협의회장, 현명관 전국경제인연합회 부회장, 이종재 한국교육개발원장 등도 참석해 군에서의 능력 개발과 사회적 인정을 위한 대학과 기업의 역할을 논의했다.

이들은 협약서에서 국방부 인사국장과 교육부 인적자원총괄국장을 단장으로 8개 정부 부처와 5개 민관기관이 참여하는 '군 인적자원개발 추진기획단'을 연말까지 구성하고 내년 상반기 군 인적자원 개발을 위한 종합계획을 확정하기로 했다.

추진기획단은 우선 군 경력과 교육훈련 결과를 국가가 공인해주는 방안을 마련하게 된다.

즉, 교육·훈련 과정 및 결과에 대한 평가체제를 구축, 학점은행제 등을 통해 대학이 학점으로 인정할 수 있도록 하며 군대경력이 국가기술자격 취득에 도움이 되도록 내년부터 자동차 정비 등 6개 종목에서 필기시험을 면제하고 그 종목도 늘리기로 했다.

또 군 장병이 자유시간을 활용해 영어 등 외국어나 정보기술(IT)을 습득하는 등 자기계발할 수 있는 기회를 확대하고, 이를 위한 환경 및 인프라를 갖춰주는 방안도 논의하게 된다.

추진기획단은 제대 군인이 교육·훈련 내용을 진학이나 구직을 위해 제출하면 대학·사회에서 이를 공식 인정해주는 미국의 '군 경력·교육인증서(VMET)' 제도나 군에서 핵심 IT 인력을 양성하는 이스라엘 사례 등을 벤치마킹할 예정이다.

우리나라는 과거에는 취직시 가산점 부여 등의 형태로 군 경력에 혜택을 줬으나 1999년 가산점 부여가 위헌이라는 헌법재판소 판결 이후 군 복무 결과가 사회적으로 인정을 받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안 부총리는 "글로벌 지식경제 사회에서는 전 생애에 걸쳐 지속적인 능력개발이 필요하며 국방의 의무를 수행하면서 제대 후 사회로 원활하게 옮겨갈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말했다.

그는 "국방부는 군대에서 학습할 수 있는 분위기 형성에 주력하고 교육부는 학습 결과가 사회적으로 인정받을 수 있도록 제도적·정책적인 수단을 마련하며 민간은 그런 자기계발 결과를 최대한 반영하는 방안을 강구하자"라고 강조했다.

윤광웅 국방부 장관도 "군과 사회의 유기적인 연계체제가 중요하며 학습하는 병영문화는 장병 능력개발뿐 아니라 지식기반형 군 조직 구축을 통해 전투력을 높이는 데도 기여할 것"이라고 말했다.

(연합)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