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이마트 건축심의와 맞물려 시민들간 논란

(주)새한의 학교법인 새한학원이 경산시 갑제동에 새한고등학교(가칭)를 지어 경북도교육청에 기부채납하면 도교육청이 2006년 3월 공립 특목고로 개교할 예정(본보 9일자 31면)이라는 보도 이후 고교 설립 재추진 배경을 놓고 경산시민들 사이에서 논란이 분분하다.

새한이 고교 설립을 2년만에 재추진하는 가장 큰 이유는 경산공장 부지내 2만여평을 업무·판매시설(E마트) 건축심의를 받을 수 없기 때문. 이 부지는 시가 1997년 24만3천여 평을 공업지역에서 상업지역 등으로 도시계획 변경해 주면서 특혜시비가 일자 새한이 개발이익의 사회환원 차원에서 경산시민들에게 명문고 설립, 운영 약속을 했다가 워크아웃 등으로 차질을 빚었던 곳이다.

이 문제와 관련해 최근 경산시의회 간담회에서는 여러 의견이 개진됐다.

"새한이 당초 약속한 사립고 설립·운영은 사실상 어려운 만큼 특목고라도 지어주면 지역 교육발전에 도움이 되니 건축심의를 받게 해주자"와 "지금까지 약속을 잘 이행하지 않은 만큼 학교 설립 진행 상황 등을 봐가면서 재논의 하자"는 의견이 팽팽히 맞섰다.

시민들의 의견도 다양하다.

일각에서는 "특목고로 개교하면 최소한 경북도 단위로 학생을 모집할 수밖에 없어 당초 설립 목적과 달리 경산지역 출신 중학생들의 진학 혜택이 거의 없을 것이다.

새한이 연간 20억∼30억 원에 이르는 학교운영비 부담을 도교육청에 떠넘기는 것"이라는 주장이 나오고 있다.

반면 "차선책이지만 공립 특목고로 개교하면 역내 학교간 경쟁 유발로 면학 분위기 조성과 학력신장에 도움이 돼 지역 학생들의 대구 유출을 최소화할 수 있을 것"이라는 주장도 있다.

학교 설립문제와 E마트 건축이 무관치 않다는 점에서 재래시장 및 영세상인들도 촉각을 세우고 있다.

경산시장 상가번영회 관계자는 "시가 재래시장 활성화를 위해 최근 몇년 사이 30억~40여억 원을 투입해 시장 정비 및 현대화를 해 놓고 중산동에 대형 판매시설 건축 허가를 해주면 재래시장 붕괴는 불 보듯 뻔하다"며 집단행동도 불사할 태세다.

이에 대해 시는 "학교설립계획 승인이 난 만큼 새한이 신청한 건축 심의를 계속 반려할 수 없다"며 행정절차를 진행할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경산·김진만기자?factk@imaeil.com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