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 겨울이 따뜻하다는데 우리는 왜 이렇게 추운지…"
22일 오후 송모(71·서구 비산동)할머니 집 방문을 열자 싸늘한 냉기가 먼저 손님을 맞았다. 송 할머니는 2평이 채 안 되는 좁은 방에서 인근 공장에서 얻어왔다는 이불을 덮어쓰고 있었다. 방금 라면을 끓여먹었다는 밥상 위 가스버너는 벌써 싸늘하게 식어 있었다.
점퍼를 입고 목도리까지 두른 할머니는 "정부보조비로 50만 원 남짓 받는데 한 달치 보일러 기름값이 15만 원"이라며 "기름값이 올라 새벽에 잠깐씩만 켜는데도 벌써 바닥이 보인다"며 혀를 찼다.
올 들어 난방유 가격이 오르면서 빈곤층 주민들의 겨울나기가 더욱 막막해졌다. 월 8~10만 원 정도 들어가는 도시가스조차 들여 놓을 수 없는 기초생활수급자·차상위계층 등 '골목동네' 사람들은 '혹한의 겨울'을 나고 있다.
대구 주유소협회에 따르면 올 겨울 난방유(실내 등유)가격은 200ℓ 들이 한 드럼당 15만2천200원으로 지난해 이맘때 13만 원에 비해 15%가량 올랐다. 한 가정에서 겨울을 나는 데는 2~3드럼의 기름이 필요하다.
ㅂ석유 관계자는 "3만 원이든 5만 원이든 돈 만큼 넣어달라는 사람이 더욱 많아졌고 외상도 부쩍 늘었다"고 전했다.
'홀몸노인'인 이모(73·남구 대명동) 할아버지는 22일 오후 고물행상을 하며 주워 온 전기장판을 깔고 있었지만, 냉기가 감도는 방에서 막 선잠을 깨 있었다. 이씨는 "월 정부보조금 20만 원으로 월세 10만 원을 내고 나면 기름 살 엄두도 못 낸다"며 "연탄 보일러로 바꾸고 싶다"라고 하소연했다. 이씨는 "지난해 겨울 들여놓은 기름을 여태 쓰고 있다"며 점점 '0'에 가까워지는 보일러 눈금을 막막하게 바라봤다.
저소득층에게는 매월 생계·주거 지원만 있을 뿐 별도의 난방비 예산이 없다.
대구시 복지정책과 관계자는 "홀몸노인뿐 아니라 소년·소녀가정, 저소득 장애인 가정 등에도 현실화된 난방비 지원을 못 해 안타까울 뿐"이라며 "독지가들의 도움도 줄어 체계적인 사회안전망 보강이 아쉽다"고 말했다. 최병고기자 cbg@imaeil.com 서상현기자 ssang@imaeil.com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대법원, 이재명 '선거법 위반' 사건 전원합의체 회부…노태악 회피신청
한덕수 "24일 오후 9시, 한미 2+2 통상협의…초당적 협의 부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