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수월성 교육'할일 많다

교육부 40만명 대상 내년부터 실시계획

교육인적자원부가 평준화 제도 보완을 위해 마련한 '수월성 교육 종합대책'과 관련, 교육계는 전문 교사와 교재, 판별 도구와 평가 방법 등의 기반 취약, 수준별 수업 확대의 어려움, 대학입시와 연계된 내신 평가 방안 미흡 등으로 시행에 상당한 어려움을 예상하고 있다.

또한 학생들의 경쟁이 치열해져 사교육이 오히려 증가할 것이란 우려도 나오고 있다.

▲취약한 기반=교육부는 전체 초·중·고교생의 상위 1%인 8만여 명에게 영재 교육을, 상위 5%까지인 40만여 명에게 수월성(엘리트) 교육을 한다는 계획이다.

이를 위한 핵심이 전문 교사 확충이라는 판단에 따라 영재교육 담당 교원 연수 강화, 외부 전문가 교원 임용, 영재 전문 대학원 설립 등이 검토되고 있다.

영재 담당 교원의 경우 올해 대구서 206명이 연수를 받는 등 지금까지 전국에서 5천여 명이 받았으며 2010년까지 1만1천 명까지 늘린다는 방침. 그러나 교사 자격증이 없는 외부 전문가 임용에 대한 교육계의 저항이 거셀 것으로 보여 교원 연수만으로는 질적·양적으로 턱없이 부족한 인력을 메우기가 현실적으로 어려울 전망이다.

▲수준별 수업 확대 난항=교육부는 일반 학교의 영어와 수학에서 2, 3개 과정을 만들어 학생들이 자신의 특성에 맞는 과정을 따라가면서 이수하는 수준별 계열화 교육과정을 2007년 도입하기로 했다.

또 대학이 개설한 과목을 고교에서 미리 듣고 학점을 인정받는 대학과목 선(先)이수제(AP)도 도입된다.

이를 위해서는 수준별 수업이 필수적이나 현재 이를 실시하는 학교가 30%에도 미치지 못하고 있으며 교육부조차 2007년 목표를 50%에 두고 있는 점을 감안하면 실현 가능성이 의심스럽다.

대구의 경우 중학교와 고교 1학년 과정에서 60% 이상의 수준별 수업이 이루어지고 있다고 밝히고 있으나 교사와 교실 수 부족 등으로 학생들의 선택에 맞춰 수준별 계열화 과정을 전면 도입하기에는 벅찬 실정이다.

▲대학입시와의 연계 미흡=영재 교육이나 수월성 교육을 받은 학생에 대한 평가를 대학입시와 연계시키기가 쉽지 않다는 점도 문제로 꼽힌다.

2008학년도 이후 대학입시는 내신 비중이 대폭 커지는데 수월성 교육 집단 내의 비교 평가는 상대적으로 불리할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교육부는 대학들의 특기자 전형 확대, 입학 사정관제 도입 등으로 이를 해소하는 방안을 내놓고 있으나 대학의 선발 자율성이 지금처럼 제한된 상황에서는 효과가 그리 크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사교육 증가=수월성 교육 대상인 상위 5%에 들기 위해 사교육이 증가할 것으로 불 보듯 뻔한 상황이다.

지금도 영재교육원에 들어가기 위해 초등학교 때부터 선행·심화학습을 위한 학원 수강이 유행하는 사실을 감안하면 일반 학교까지 수월성 교육이 실시될 때의 사교육 시장 규모는 엄청날 수밖에 없다.

김재경기자 kjk@imaeil.com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