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5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에서 휴대전화를 이용한 부정행위와 대리시험이 전국적으로 이루어진 사실이 드러나 국민은 충격에 빠졌다.
광주에서 시작한 부정행위 수사는 전국에서 휴대전화 메시지, 조직적 시도, 대물림 커넥션, 대리시험 등 다양한 수법을 확인했다.
경찰은 수험생, 학원장 등 374명을 입건했으며 교육부는 수험생 314명의 성적을 무효 처리했다.
그나마 대구·경북에서는 부정행위자가 한 명도 없는 것으로 밝혀져 안도의 숨을 쉬게 했다
부정행위 파문은 그동안 교육계에 풍문으로 떠돌던 '수능 괴담'이 사실로 드러났다는 점에서 수능시험에 대한 신뢰를 크게 떨어뜨렸다.
가뜩이나 이번 수능은 난이도 조절 실패, 표준점수제 혼란 등의 비판을 받는 터여서 대학입시제도 전반의 개편을 요구하는 목소리가 높아졌다.
대학가와 중·고교에서는 '시험 부정 근절' 대책을 마련하는 자성의 움직임이 나타나기도 했다.
하지만, 입시 교육에 짓눌려 취약해진 인성 교육을 강화해야 한다는 우리 교육의 해묵은 숙제를 해결하지 않는 한 그 같은 부정은 언제고 되풀이될 수 있는 사건이다.
김재경기자 kjk@imaeil.com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우리 아기가 태어났어요]신세계병원 덕담
"하루 32톤 사용"…윤 전 대통령 관저 수돗물 논란, 진실은?
'이재명 선거법' 전원합의체, 이례적 속도에…민주 "걱정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