열린우리당 천정배(千正培) 원내대표가
1일 국가보안법 등 주요 개혁입법의 연내처리에 실패한데 대한 책임을 지고 전격 사
퇴한데 이어 이부영(李富榮) 의장을 비롯한 상임중앙위원들도 일괄 사퇴를 검토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우리당 지도부는 이날 새벽 천 원내대표가 사퇴한 직후 열린 상임중앙위원회의
와 단배식후 이 의장 등이 참석한 가운데 열린 비공식 대책회의에서 개혁입법의 연
내처리 실패에 책임을 지고 동반사퇴해야 하지않느냐는 교환한 것으로 알려졌다.
우리당 지도부는 3일 오전 열리는 상임중앙위원회의에서 최종 거취를 결정할 계
획이다.
이부영 의장의 한 측근은 1일 연합뉴스와의 통화에서 "이 의장은 이번 문제에
대해 책임을 지겠다는 뜻이 강하다"면서 "3일 상중위에서 거취에 관한 입장표명을
할 것으로 본다"고 말했다.
당내에서는 그러나 천 원내대표에 이어 이 의장 등 지도부가 모두 사퇴할 경우
연초부터 당의 혼란이 가중될 수 있는 만큼 사퇴해서는 안된다는 의견과 개혁입법
처리 실패에 책임을 지고 이 의장 등이 사퇴해야 한다는 재야 강경파의 의견이 엇갈
리고 있어 3일 상중위 회의결과가 주목된다.
지도부가 총 사퇴할 경우 지난해 1월 전당대회에서 4위로 당선된 이미경(李美卿)
상임중앙위원이 의장직을 승계하는 방안과 비상대책기구를 구성해 4.2 전당대회까지
당을 운영해야 한다는 의견이 엇갈리고 있다.
핵심 관계자는 "새해가 시작된 만큼 당 면모의 일신차원에서 지도부가 모두 물
러나고 비상대책위원회를 구성해 기간당원 모집 등 전대준비를 하고, 원내문제는 1
월중에 경선을 통해 선출되는 새 원내대표를 중심으로 이끌어가면 된다"고 말했다.
그러나 재야 강경파 출신의 한 의원은 "국보법폐지 관철실패에는 천 원내대표
뿐만 아니라 이 의장도 상당한 책임이 있는 만큼 사퇴해야 한다"면서 "이 의장이 사
퇴하고 나머지 상중위원을 중심으로 전대까지 당을 이끌어가면 된다"고 말했다.
당내에서는 특히 오는 4월2일로 예정된 전대 시기를 앞당길 필요가 있다는 의견
도 제기되고 있어 연초부터 당권 경쟁 레이스가 조기에 점화될 가능성도 있으며, 이
과정에서 당내 온건중도파와 재야 강경파간의 노선갈등이 첨예화될 개연성도 배제할
수 없다.
최규성(崔圭成) 사무처장은 "전대를 앞당겨서 개최해야 한다는 의견이 있다"면
서 "하지만 전대준비에 2개월 이상 걸리는 만큼 시기를 앞당긴다 해도 대폭 앞당기
기는 힘들 것"이라고 말했다. (연합뉴스)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대법원, 이재명 '선거법 위반' 사건 전원합의체 회부…노태악 회피신청
한덕수 "24일 오후 9시, 한미 2+2 통상협의…초당적 협의 부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