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暴雪大亂 '속수무책'일 수밖에 없나

포항'영덕'울진을 비롯한 봉화'영양'청송'영천'경주'청도 등에 휴일인 16일 새벽부터 내린 20여 년 만의 폭설로 대란(大亂)이었다. 이에 대한 행정 당국의 대비도, 장비도 없어 한마디로 속수무책이었다. 특히 포항 지역은 24년 만의 폭설로 도시 기능이 거의 마비되다시피 했고 휴일 나들이객들은 예상치도 못했던 게릴라성 폭설에 우왕좌왕이었다. 북부 지역의 농촌 지역민들은 사실상 고립 상태에서 하늘만 쳐다볼 수밖에 없는 상황이었다. 대구~포항 고속도로를 비롯한 거의 모든 지역의 국도가 사실상 제기능을 못해 귀갓길은 가히 전쟁터나 다름없었다. 지난해 경부고속도로의 폭설대란(暴雪大亂)이 재연된 것이다.

이는 우선 기상 당국의 예보가 완전히 빗나갔다는 데 큰 문제가 있다. 강원도 지방의 폭설만 언급했지 경북 동해안 지역엔 '예년의 눈'수준으로만 예보했었다. 이번 기회에 기상 당국은 늘 '사건'이 있고 난 뒤에야 난리법석을 떨면서 보완하는 시스템으론 급변하는 '기상 이변'에 대응할 수 없다는 걸 깊이 깨달아야 한다. 또 정부도 이런 열악한 '기상 예보'현실을 직시, 충분한 예산을 확보해 '국민의 생명'재산'과 직결된 문제부터 근원적으로 해결해 주는 데 우선순위를 둬야 할 것이다.

재해가 있을 때마다 지적되는 '행정의 늑장 대처'는 이번 폭설대란에도 역시 문제였다. 물론 20여 년 만의 폭설에 대비한 모든 장비를 갖춘다는 게 현실적으로 불가능하지만, 피해를 줄일 수 있는 재해 대책 시스템마저 엉망 이었음이 이번에도 여실히 드러났다. 이 문제는 경북도가 주축이 돼 각 지자체별로 다시금 재정비, 국민이 세금을 내는 이유를 깨닫게 해야 할 것이다. '폭설 후유증' 최소화에 전 행정력을 동원해 줄 것을 당부한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