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시된 문제들은 생명공학에 관한 것들이다. 생명체를 이용한 산업을 통틀어 생명공학(bio-technology)이라고 부른다. 시대에 따라 정의와 대상이 크게 변해왔지만 오늘날에는 생명 현상과 생물 기능을 연구하는 기초적 연구와 이를 기반으로 기술을 개발하는 응용 분야를 포괄하는 의미로 쓰인다. 따라서 생명공학을 전공하기 위해서는 과학자이면서 기술자로서의 자질과 소양, 가치관을 필요로 한다.
생명공학의 핵심 기술로 유전자조작기술(유전공학), 세포융합기술(세포공학), 세포대량배양기술(세포배양공학), Bioreactor기술(효소공학)의 네 가지를 꼽는다. 이러한 기술들은 유전자의 기능을 덧붙이거나 잃게 하며, 유전 정보의 본체인 DNA를 혼합해 육종과 품종을 개량한다. 또 육종한 고기능생물을 대량으로 증식하거나, 그 기능을 최대화시키는 역할도 한다. 바이오 산업이나 바이오 상품의 근원도 이것이다.
생명공학의 발달은 다른 학문과 기술 분야에 엄청난 영향을 미쳤다. 기초적'학문적 분야에 획기적인 변화를 가져왔을 뿐만 아니라 의료, 건강, 식품, 환경 등 생물산업 분야에도 엄청난 발전을 불렀다. 생물체 또는 생물체의 기능을 활용해 유용한 물자를 생산하는 생명공학은 이제 21세기를 개척해가는 6대 첨단기술 분야의 한 자리를 차지하고 있다.
장래를 계획하는 학생들의 입장에서 본다면 다양한 학문 분야를 아우르며 첨단과학기술로 급속히 발전하는 생명공학은 관심을 가질 만한 분야다. 굳이 대학에서 생명공학을 전공하지 않더라도 생물학, 유전학, 동'식물학, 화학, 화학공학, 전자공학, 기계공학, 의학, 약학, 농학, 식품학 등 광범위한 분야에서 접근이 가능하다는 점도 장점이다.
또한 생명공학의 연구 성과가 즉시 공업화한다는 사실도 보람을 느끼게 하는 것이다. 아울러 인류가 당면한 여러 가지 위기를 뚫는데 생명공학의 역할이 지대하다는 점도 매력적이다. 이제는 생명공학 전공이나 직업 관련 여부와 관계 없이 누구나 생명공학이 가져오는 물질적'정신적 변화에서 벗어날 수 없는 시대가 됐다는 사실을 깊이 생각해 보자.
김재경기자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대법원, 이재명 '선거법 위반' 사건 전원합의체 회부…노태악 회피신청
포항 찾은 한동훈 "박정희 때처럼 과학개발 100개년 계획 세울 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