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1차 한일회담(1952.2.15∼4.25)
-한국 측 '한일 간 재산 및 청구권 협정 요강 8개 항' 제시
-일 측의 대한 일본인 재산청구권 주장으로 결렬
▲제2차 한일회담(1953.4.15∼7.23)
-독도 문제 및 평화선 문제에 대한 양측 이견 노출
-한국전쟁 휴전 후 제네바회담 개최 등에 따라 휴회
▲제3차 한일회담(1953.10.6∼10.21)
-어업(평화선) 문제 및 청구권문제를 둘러싸고 대립 계속
-일 측 수석대표 구보타 망언(10.15)으로 회의 결렬
▲중단기(1953.10∼1958.4)
-한일 간의 심한 감정 대립으로 회담 중단
▲제4차 한일회담(1958.4.15∼1960.4.15)
-기시 내각 출범에 따라 회담이 재개됐지만 지지부진
-회담 재개 및 휴회를 거듭, 1960년 4·19 항쟁으로 중단
▲제5차 한일회담(1960.10.25∼1961.5.15)
-한일 양국, 장면 내각―이케다 내각 출범으로 회담 재개
-청구권에 대한 법리적 논쟁 탈피, 실질적 진전을 위해 노력했으나 성과 미미
-1961년 5·16 쿠데타 발생으로 중단
▲제6차 한일회담(1961.10.20∼1964.4)
-양국 간 이해 및 동북아 안보환경 변화로 국교 정상화 시급
-1961.10.20 본회의 개최
-1961.11.22 박정희 대통령―이케다 회담, 조속한 시일 내 국교 정상화 합의
-1962.10.20 김종필―오히라 메모(무상 3억, 유상 2억, 상업차관 1억 달러 이상)
-1964.4 한국 내 한일회담 중단요구 시위격화로 회담 중단
▲제7차 한일회담(1964.12.3∼1965.6.22)
-1965.2.20 기본관계 조약 가조인 및 양국 외상 공동성명 발표
-1965.6.22 기본관계 조약 및 청구권 협정 등 4개 협정 서명
-1965.8.14 국회비준(찬성 100, 기권 1/야당 보이콧)
-1965.11.12 일본 중의원 비준
-1965.12.11 일본 참의원 비준
-1965.12.18 비준서 교환(서울) 및 협정 발표
(연합)
댓글 많은 뉴스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전광훈 "대선 출마하겠다"…서울 도심 곳곳은 '윤 어게인'
이재명, 민주당 충청 경선서 88.15%로 압승…김동연 2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