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행정수도 후속책 또 '으르렁'

與野 '무정쟁' 약속 벌써 잊었나

'무정쟁'을 이야기하던 여야가 행정수도 이전 후속대책을 두고 충돌하고 있다.

정부와 열린우리당이 '16부4처3청' 이전을 골자로 한 후속대책을 확정하자 한나라당이 국토 균형개발 계획부터 세우라고 발끈, 수도이전 특별법의 2월 임시국회 처리가 난관에 부딪혔다.

한나라당 박세일(朴世逸) 정책위의장은 30일 "행정수도 이전은 전반적인 국토 균형개발 계획을 수립한 뒤 충청지역을 어떻게 특화시킬지를 고려하는 방향으로 진행돼야 한다"며 "18부 이전은 위헌인데, 16부는 괜찮다는 것은 오기가 아니고 뭐냐"고 말해 사실상 정부안을 거부했다.

박 의장은 또 "국회 행정수도 특위가 충분한 시간을 갖고 근본적 해결책을 논의하기 위해서는 특위 활동시한이 길어질 수밖에 없을 것으로 생각한다"며 2월 처리 '불가' 입장까지 내놓았다.

게다가 지난 29일 예정됐던 '국회 신행정수도 후속대책특위' 소위원회 3차 회의는 한나라당 의원들의 불참으로 무기 연기된 상태다.

열린우리당은 2월 여야 합의처리 원칙은 지켜져야 한다는 입장이다.

비록 당·정 협의 과정에서 정부 여당안이 '일방' 발표되긴 했으나, 어디까지나 본격적인 국회 특위 논의에 앞서 정부 입장을 최종 정리한 것이라는 해명이다.

열린우리당 소속 국회 특위 소위원장인 박병석(朴炳錫) 의원은 "2월 말까지 여야 합의로 단일을 만드는 것은 국민에 대한 약속이라는 점을 명심하기 바란다"고 했다.

열린우리당은 내달 4일까지 한나라당이 단일안을 마련, 특위에 제출할 것을 거듭 요구하고 있으나 후속대책 논의가 계속 장기화될 가능성이 커 걱정이 많다.

한 당직자는 "한나라당이 내달 3, 4일 동안 열릴 예정인 연찬회에서 행정수도 후속대책 당론을 결정키로 한 상태여서 일단 지켜보자는 입장"이라고 말했다.

그러나 한나라당이 무작정 특위논의를 지연시키거나 후속대책 거부 당론을 마련하기는 정치적 부담이 크다는 지적이다.

따라서 논란을 벌이되 이달 중 여야간 정치적 타결 가능성도 크다는 전망도 나온다.

김태완기자 kimchi@imaeil.com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