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대구 섬유-동대문시장 손잡는다

산업자원부, 밀라노프로젝트 후속대책

동대문의 새로운 도약을 위해 정부와 민간차원에서 섬유 산지인 대구와 손잡는 방안을 적극 추진하고 있어 귀추가 주목된다. 정부가 추진하고 있는 프로젝트는 밀라노프로젝트를 통해 직물과 화섬 등 전통적인 섬유산지의 기반을 마련한 대구와 패션클러스터인 동대문시장상인들을 연계시키는 방안. 산업자원부가 2002년부터 밀라노 후속대책의 하나로 마련한 '동대문(남대문포함)-밀라노프로젝트 연계방안'이 그것이다. 이 방안의 핵심은 '섬유소재리소스센터'설립이다.

5년간 75억 원을 투입, 설립하겠다는 이 리소스센터는 그러나 산자부 내에서 우선순위에 밀려 예산반영에 실패한 것으로 전해졌다. 산자부가 배정할 수 있는 각종 기금 등으로 추진했으나 다른 사업들에 밀려 3년째 보류되고 있다는 것이다. 11일 산자부에 따르면 올해 섬유소재리소스센터 사업계획을 보완, 다시 사업을 추진하게된다.

센터가 완공될 경우 대구의 화섬 및 직물공장과 서울·수도권의 봉제공장을 직접 연결시켜줄 수 있다. 즉 동대문과 연계돼 있는 봉제공장들이 필요로 하는 신소재 수요를 파악, 곧바로 지역 직물공장들에게 연계시킨다는 것이다. 대구·경북의 생산기능과 동대문·남대문시장의 상품기획 및 마케팅기능을 동반 발전시킨다는 구상인 셈이다.

산자부 문철환 사무관은 "센터 구축은 하나의 방안일 뿐, 이것으로 대구와 동대문의 연계가 마무리되는 것은 아니며 여러 가지 방안을 더 구상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민간에서의 교류방안은 더 활발하다. 한국의류판매업연합회 박근규 회장은 섬유원단 생산뿐 아니라 봉제산업까지 대구에서 육성하는 방안을 제시했다. 중국에 봉제공장을 이전할 경우의 물류비를 감안한다면 동대문시장의 봉제산업을 대구로 유치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는 것이다.

밀라노프로젝트 후속대책에 어패럴단지 조성 등 봉제산업과 패션산업 육성방안이 포함돼있으므로 이같은 방안을 더욱 적극적으로 검토해봐야 한다는 주장이다. 특히 그는 "대구에서 완제품을 만들 수 있어야 섬유산업이 발전할 수 있는 것"이라며 "봉제산업을 키우는 것은 그 첫 단계"라고 강조했다.

남북경협사업의 하나로 추진되고있는 '개성공단'에 동대문상인들과 대구지역 섬유업체들이 동시에 입주하는 것도 또다른 협력방안으로 추진되고 있다. 중소기협중앙회, 동대문상인연합체인 '동대문관광특구협의회' 등이 개성공단에 동대문패션타운과 지역 섬유공장들의 동반 입주를 본격 추진하고 있다는 것.

물류비 부담이 적잖은데다 언어소통 등에 문제가 있는 중국보다는 개성공단이 유리하다는 것이다. 정동영 통일부 장관을 만나 봉제산업의 개성공단 입주를 촉구한 바 있는 박 회장은 "북한측 입장에서도 봉제 등 노동집약산업이 입주해야 고용효과가 극대화되는 등 서로가 윈-윈할 수 있다"며 "정부가 '우량중소기업' 등의 개성공단 입주조건을 완화해 동대문 봉제공장과 대구 섬유업체들의 입주를 수월하게 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서명수기자 diderot@imaeil.com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