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박 대표, 정수장학회 '결별'과 '대응'

한나라당 박근혜(朴槿惠) 대표가 28일 정수장학

회 이사장직을 정식 사퇴할 예정이어서 이를 계기로 박 대표의 과거사 대응에 어떤

변화가 생길지 주목된다.

정수장학회는 박 대표를 공격하는 여권의 단골메뉴였고 한나라당내 비주류도 과

거사 공세에 적극 대응하기 위해서는 박 대표가 '3공의 유산'으로 인식돼 온 장학회

문제를 명쾌하게 정리할 필요가 있다는 주장을 제기해 왔기 때문이다.

박 대표는 그간 "정수장학회에 대해 검증받겠다", "여권이 물러나라고 해서 물

러날 일이 아니다"라고 반발하면서도 "적당한 기회를 봐서 사퇴할 것"이라고 언명해

그 시기에 관심이 집중돼 왔던게 사실.

박 대표가 이 시점에서 정수장학회와 결별키로 한 것은 이사장직 사퇴가 여권의

압박이나 공세 등 '타의'에 의한게 아니라는 점을 외부에 이해시킬 수 있는 '적절한'

타이밍이 왔다는 판단에 따른 것으로 보인다.

박 대표는 정수장학회 설립과정을 둘러싸고 '강탈' 등 온갖 의혹이 제기됐지만

결국 이런 의혹이 어느 것 하나 입증되지 않은만큼 장학회 정기이사회를 계기로 '정

상적고도 떳떳하게' 이사장직에서 물러나는 형식을 취했다는 것이다.

박 대표의 핵심측근은 27일 "작년에 여당에서 정수장학회 문제를 파헤치겠다고

특별조사팀을 만들어 활동했으나 결국 아무 것도 꼬투리를 잡지 못하지 않았느냐"면

서 "그런 점에서 홀가분하게 정기이사회를 통해 사퇴하는 것"이라고 말했다.

속사정이야 어떻든 그간 수세에 몰려왔던 박 대표가 스스로 '족쇄'를 제거함으

로써 앞으로 과거사에 대해 좀더 자유롭고 공세적인 입장에서 대처할 수 있는 환경

이 조성됐다는게 대체적인 관측이다.

최근 국가정보원이 정수장학회를 포함해 여러가지 과거사를 진상규명 대상으로

삼았고 경찰, 군 등도 자체 과거사 규명에 나서기로 한 것을 박 대표는 '정략적 행

위'로 규정, 적극 대응에 나설 것이라는 지적이다.

박 대표는 지난 4일 의원연찬회에서 "(선친인) 박정희 전 대통령이나 저로 인해

당이 부담스럽고 짐스럽다고 한다면 결코 대표직에 연연할 생각이 없다"고 배수진을

치며 정면돌파 의지를 드러낸 바 있다.

그는 또 24일 기자간담회에선 박 전 대통령에 대해 "나는 정치인으로서 아버지

가 사심없이 나라를 위해 일한 정치 철학을 가슴에 새기고 있다"고 두둔했다. 선친

에 대한 공세에는 단호히 맞서겠다는 의지의 표현으로 읽히는 대목이다.

따라서 박 대표가 제1야당 대표 겸 차기 대선의 유력 주자로 남아있는 한 국가

기관의 과거사 규명이 본격화되면 될수록 박 대표와 여권의 공방은 더욱 치열해질

것으로 예상된다.

박 대표는 "정권을 잡았다고 역사까지 전유물로 해서는 안된다. 이 정권이 과연

과거사를 제대로 다루고 있나 국민이 평가할 것"이라고 누차 '경고'해 온 점이 이를

뒷받침한다.

그러나 당내에선 박 대표가 과거사 문제에 대한 정면돌파를 내비치면서도 정작

과거사법 제정에는 소극적인 태도를 보이는 데 대한 불만도 적지 않다.

당 관계자는 "각급 국가기관이 자의적으로 행하는 과거사 재조명을 방치하면 안

된다"며 "정치적 의도만 비판할 게 아니라 제대로된 과거사법 제정을 서둘러 객관적

이고 공정하게 과거사 규명이 이뤄지도록 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연합뉴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