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의 修道思想 논문 모아
▧융 심리학과 동양사상
이번 학기에 경북대 의과대학에서 정년퇴임한 이죽내 교수(정신의학과)가 그동안 분석심리학의 관점에서 동양의 수도사상(修道思想)을 고찰한 글들을 모아 '융 심리학과 동양사상'이란 책을 펴냈다. 이 책은 동양의 수도사상과 직접적으로 관련되는 것이 정신치료이기 때문에, 제1부에서는 분석심리학적 정신치료란 이름 아래 분석심리학적 정신치료의 특징을 이해할 수 있는 몇개의 종설 논문을 실었다. 제2부는 융과 동양의 수도사상이란 주제로 주로 원효의 수도사상에 대한 분석심리학적 고찰에 관한 논문을 담고 있다. 하나의학사. 1만9천 원.
김춘수 시인의 삶과 문학
▧시와 반시
계간 문예지 '시와 반시' 봄호가 전 지면에 걸쳐 지난해 11월 타계한 대여 김춘수 시인의 삶과 문학을 담았다. 첫번째 기획인 '김춘수 문학의 주춧돌'은 시인의 문학사상과 시적 현현 혹은 작품을 통해 본 시인의 문학사상과 시사적 의의에 대한 논의이다.
두번째 기획인 '김춘수 시인의 안채와 사랑채'는 시인이 머물던 자리와 그곳에서 가장 가까웠던 사람들이 시인의 인간적인 체취와 번민을 안팎의 시점에서 살펴본 글들이다. 세번째 '우리 시대의 큰 시인 대여 김춘수 선생의 시와 삶 그리고 산문'은 강현국 시인(시와 반시 공동주간)이 생전의 선생과 나눈 대담 내용으로 시와 반시 창간 10주년 기념호의 것을 재수록했다.
대여 선생의 육성이 생생하게 기록된 글이 귀중한 자료 역할을 하고도 남는다. 책 머리부분의 화보는 '대여 김춘수 시인 지상문학관'으로 꾸몄다. 학창시절에서 무덤까지, 화장실 슬리퍼에서 손 다친 데 바르는 약이라고 깨알같이 써놓은 구급약에 이르기까지, 시인의 그날들을 테마를 정하고 연대를 맞춰 생애를 오래 간직하고 싶은 마음을 담았다. 시와 반시사. 8천 원.
권숙월 시인의 아홉번째 시집
▧옷고름 푼 복숭아나무
한국문인협회 김천지부장을 지낸 시인 권숙월씨가 아홉번째 시집 '옷고름 푼 복숭아나무'를 펴냈다. 시집 말미에 이승하 시인(중앙대 교수)이 남긴 발문 제목 '나무와의 교감, 꽃과의 대화'처럼 이번 시집에는 나무와 꽃에 대한 노래가 대부분이다. 시인은 복숭아꽃은 복숭아나무가 분홍 속치마를 뒤집어쓰거나 옷고름을 푼 것으로, 대추꽃은 욕심 없이 향기까지도 버리게 되는 그리고 뜨거운 가슴에 안기게 되는 아내 같은 존재라고 했다.
"나무와 꽃에 자꾸 눈이 간다"는 시인은 "변함 없이 든든한 나무와 향기로운 꽃에 대한 시를 계속 쓸 것"이라고 했다. 시집의 마지막 문장으로 '사람은 사람이 온 집으로 가고 꽃은 꽃이 온 집으로 갔다'는 시구를 남겼다. 시문학사. 6천 원.
조향래기자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대법원, 이재명 '선거법 위반' 사건 전원합의체 회부…노태악 회피신청
한덕수 "24일 오후 9시, 한미 2+2 통상협의…초당적 협의 부탁"